최저임금 조정이 노동자들의 노동시간과 노동소득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최저임금 산입범위를 고려하여 산정한 최저임금에 해당하는 노동자의 비율이 임금노동자들의 노동시간과 노동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업 내 최저임금 영향자의 비율이 1%p 늘어날 때 최저임금에 영향을 받는 노동자들의 월평균 노동시간은 약 1.3시간 줄어들며, 월평균 급여는 약 1.4만 원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기업이 최저임금에 적용을 받는 노동자들의 노동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노동비용의 상승을 상쇄하려는 시도를 할 수 있고, 이는 오히려 최저임금의 적용을 받는...
Saved in:
Published in | 노동경제논집 Vol. 42; no. 1; pp. 73 - 105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노동경제학회
31.03.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6651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최저임금 산입범위를 고려하여 산정한 최저임금에 해당하는 노동자의 비율이 임금노동자들의 노동시간과 노동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업 내 최저임금 영향자의 비율이 1%p 늘어날 때 최저임금에 영향을 받는 노동자들의 월평균 노동시간은 약 1.3시간 줄어들며, 월평균 급여는 약 1.4만 원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기업이 최저임금에 적용을 받는 노동자들의 노동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노동비용의 상승을 상쇄하려는 시도를 할 수 있고, 이는 오히려 최저임금의 적용을 받는 노동자들의 노동소득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impacts of minimum wage on the working hours and labor income of wage earners considering coverage of minimum wage. The results show that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workers influenced by the minimum wage in the industry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average monthly working hours and the average monthly salary of workers affected by the minimum wage. This implies that firms try to offset the rise in labor costs caused by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by adjusting the working hours of the employees influenced by the minimum wage. Our finding suggests that the minimum wage policy would reduce the labor income of workers affected by the minimum wage. |
---|---|
Bibliography: | The Korean Labour Economic Association |
ISSN: | 1229-66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