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자기결정성과 주장적 행동의 관계에서 내외통제소재의 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자기결정성과 주장적 행동의 관계에서 내외통제소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J시 소재의 초등학교 4, 5, 6학년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에 따라 자기결정성과 주장적 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자기결정성과 내적통제소재는 주장적 행동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외적통제소재와는 부적인 상관관계 보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자기결정성과 주장적 행...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25; no. 1; pp. 83 - 101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놀이치료학회
28.02.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0858 2384-0153 |
DOI | 10.17641/KAPT.25.1.5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자기결정성과 주장적 행동의 관계에서 내외통제소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J시 소재의 초등학교 4, 5, 6학년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에 따라 자기결정성과 주장적 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자기결정성과 내적통제소재는 주장적 행동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외적통제소재와는 부적인 상관관계 보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자기결정성과 주장적 행동의 관계에서 내외통제소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 아동의 자기결정성이 주장적 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내적통제소재를 통해 정적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끼친 반면, 외적통제소재에서는 부적으로 간적접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동이 친밀한 또래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주장적 행동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아동이 자기결정성을 향상시키며 내적통제소재를 높게 지각할 수 있도록 가정과 학교 내의 환경적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loci of control between children’s self-determination and assertive behavior. The sample consisted of 294 children in the 4~6th grades from an elementary school from J city, Jeonbuk,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First, according to gender, self-determination and assertive behavior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Children’s self-determination and internal and external loci of control showed a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assertive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children’s self-determination not only had a direct effect on assertive behavior, but also had a positive and negative indirect effect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loci of control. This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a program to nurture assertive behavior in children to help them form stronger and more intimate peer relationships. Our results also speak to the need for better environmental support measures at home and school to develop children’s self-determination and internal loci of control. |
---|---|
Bibliography: | 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
ISSN: | 1229-0858 2384-0153 |
DOI: | 10.17641/KAPT.2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