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대표 배드민턴 선수의 심리적 모멘텀 전략 탐색

본 연구는 국가대표 배드민턴 선수의 심리적 모멘텀 전략을 심층적으로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2018년 배드민턴 국가대표 선수 40명과 대한배드민턴협회에 등록된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대학 및 실업 선수 22명, 총 66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과 집단면담을 활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련의 귀납적 내용분석 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귀납적 범주화 결과를 기준으로 연역적으로 전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배드민턴 선수의 긍정적 모멘텀 유지 전략은 188개 원자료가 수집되었고 경기 속행, 약점 공략, 파이팅하기 등 10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30; no. 4; pp. 888 - 906
Main Authors 전재연, Jae-youn Jeon, 윤영길, Young-kil Yun, 김영숙, Young-sook Kim, 박상혁, Sang-hyuk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과학원 31.12.2019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19.30.4.88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국가대표 배드민턴 선수의 심리적 모멘텀 전략을 심층적으로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2018년 배드민턴 국가대표 선수 40명과 대한배드민턴협회에 등록된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대학 및 실업 선수 22명, 총 66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과 집단면담을 활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련의 귀납적 내용분석 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귀납적 범주화 결과를 기준으로 연역적으로 전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배드민턴 선수의 긍정적 모멘텀 유지 전략은 188개 원자료가 수집되었고 경기 속행, 약점 공략, 파이팅하기 등 10개 세부영역, 페이스 유지, 플레이 주도, 심리적 촉진 등 3개 일반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배드민턴 경기에서 선수는 긍정적 모멘텀 유지를 위해 경기 진행 속도와 템포를 자신의 방식으로 조절하는 전략과 주특기기술을 활용하거나 상대의 약점을 공략하는 플레이 전략, 파이팅이나 혼잣말을 통해 동기를 부여하고 파트너 혹은 지도자와 소통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둘째, 배드민턴 선수의 부정적 모멘텀 극복 전략은 293개 원자료가 수집되었고 경기 지연, 사회적지지 추구, 플레이 전환 등 11개 세부영역과 타임아웃, 심리적 환기, 플레이 변화 등 3개 일반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배드민턴 선수는 부정적 모멘텀 극복을 위해 의도적으로 경기를 지연시키고 장비를 교체하는 전략과 수행 단서에 주의를 집중하고 지도자 또는 파트너와 상호작용하는 전략, 실수를 예방하고 플레이를 변화시키는 전략을 사용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아시안게임이나 올림픽에 출전하는 국가대표 배드민턴 선수들의 승리 확률을 높이는데 유용한 심리지원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depth exploration of Korean national badminton players’ psychological momentum strategies.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and group interviews of 66 badminton players, including 40 members of the 2018 Korean national badminton team and 22 college and semi-pro badminton players who each had badminton careers of 10 or more years and were registered in the Badminton Korea Associ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uctive content analysis and the deductive process based on the inductively categorized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strategies for maintaining positive momentum, 188 raw data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y (keeping pace, dominating the play, and psychological facilitation) and 10 sub-category (including speedy resumption of the game, attacking weak points, and fighting shout). The results suggest that badminton players maintain positive momentum by using strategies to control the speed and tempo of the game at their preferred pace, implement special techniques, exploit their opponent’s weaknesses, and cheer or talk amongst themselves to motivate each other and communicate with their partners and coaches. Second, regarding strategies for overcoming negative momentum, 293 raw data point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y (time outs, psychological reminders, and changes in plays) and 11 sub-category (including delaying the game, seeking social support, and play change). The data demonstrate that badminton players overcome negative momentum using strategies to intentionally delay the game and exchange equipment, focus on performance cues, and interact with their coaches and partners to change plays and prevent errors. It is hoped that these study findings will inform efforts to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 that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odds of winning for the national badminton players in the Asian Games and the Olympic.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19.30.4.8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