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복지행정 연구동향 분석

이 연구는 내용분석과 토픽모델링 분석을 적용하여 지난 15년간 복지행정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연구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최근 15년간 복지행정 관련 국내 논문을 조사한 결과, 총 474편의 학술논문을 확보할 수 있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분석 결과,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에 비해 양적 연구가 더 많이 수행되고, 연구대상 지역에서는 국내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고 있었으며, 공동연구에 비해 단독연구가 더 많이 수행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주제어의 빈도분석 결과, 상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 27; no. 3; pp. 231 - 256
Main Authors 문영주, Moon¸ Young-j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거버넌스학회 31.1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1274
DOI10.17089/kgr.2020.27.3.00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내용분석과 토픽모델링 분석을 적용하여 지난 15년간 복지행정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연구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최근 15년간 복지행정 관련 국내 논문을 조사한 결과, 총 474편의 학술논문을 확보할 수 있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분석 결과,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에 비해 양적 연구가 더 많이 수행되고, 연구대상 지역에서는 국내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고 있었으며, 공동연구에 비해 단독연구가 더 많이 수행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주제어의 빈도분석 결과, 상위 주제어(키워드)는 사회복지사, 직무만족, 사회서비스,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일반행정, 사회적 기업, 조직몰입,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조직, 사회복지, 사례관리, 복지행정, 소진, 질적 연구, 자원봉사, 이직의도, 비영리조직, 매개효과, 감정노동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도출된 13개의 토픽 비중을 살펴본 결과, ‘직무태도와 조직행동’, ‘사회복지 조직관리’,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척도개발과 타당화’, ‘노인복지’, ‘사례관리실천’, ‘사회서비스’, ‘자원봉사와 기부’, ‘사회적기업의 성과’, ‘지역사회복지’, ‘휴먼서비스 종사자의 업무 수행경험’, ‘신공공관리와 정책집행’, ‘노인일자리사업’순으로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복지행정 연구를 발전시켜 나가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welfare administration for the last 15 years throughout content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and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The investigator examined all the domestic papers about welfare administration published and identified 474 papers. The major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analysis results show that more quantitative studies were performed than qualitative studie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and domestic studies were performed the most in the study area, and more independent studies were performed than joint studies.; secondly,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of keywords show that the top keywords include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social service, public social workers, public administration, social enterprise,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munity welfare centers,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social work, case management, welfare administration, burnout, qualitative research, volunteering, turnover intention, NPO, mediating effects, and emotional labor.; and finally,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13 topics identified after topic modeling analysis and found the greatest importance placed on job attitude and organizational behavior, which was followed by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job stress and burnou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s, elderly welfare, case management practice, social service, volunteering and donation, achievements of social enterprises, community welfare, job performance experiences of practitioners, new public management and policy implementation, and employment promo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in that ord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research of welfare administration.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ance
ISSN:1738-1274
DOI:10.17089/kgr.2020.27.3.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