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enosine Deaminase 수치가 높은 골수종 흉수 1예
다발성 골수종은 주로 골수와 골격계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흉수의 발생은 6% 정도이며 주된 원인은 심부전, 결핵이나 폐렴, 폐색전증, 신부전, 저알부민혈증 등이고, 다발성 골수종이 직접적으로 흉수의 원인이 되는 경우는 1% 내로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흉수 검사에서 ADA 수치가 50 IU/L 이상일 경우 결핵성흉수 진단에 중요한 생체지표가 된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흉수로 인한 호흡곤란을 호소하여 내원한 환자의 흉수 검사에서 림프구성 삼출액으로 ADA 수치가 높을 경우 결핵성 흉수를 우선적으로 고려해...
Saved in:
|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91; no. 3; pp. 316 - 320 |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내과학회
01.12.2016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738-9364 2289-0769 |
| DOI | 10.3904/kjm.2016.91.3.316 |
Cover
| Summary: | 다발성 골수종은 주로 골수와 골격계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흉수의 발생은 6% 정도이며 주된 원인은 심부전, 결핵이나 폐렴, 폐색전증, 신부전, 저알부민혈증 등이고, 다발성 골수종이 직접적으로 흉수의 원인이 되는 경우는 1% 내로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흉수 검사에서 ADA 수치가 50 IU/L 이상일 경우 결핵성흉수 진단에 중요한 생체지표가 된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흉수로 인한 호흡곤란을 호소하여 내원한 환자의 흉수 검사에서 림프구성 삼출액으로 ADA 수치가 높을 경우 결핵성 흉수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저자들은 다발성 골수종으로 항암 치료를 받는 47세 여자가 2달 동안 좌측과 우측으로 독립적인 흉수 증가가 있었고 우측 흉수는 림프구성 삼출액으로 ADA 수치가 100 IU/L 이상 상승하여 결핵성 흉수에 대해 감별 검사를 해야 했으나 흉수의 AFB 염색 및 배양과 TB-PCR 결과가 음성으로 확인되었고 세포병리에서 형질세포종이 포함되어 최종적으로 골수종 흉수로 진단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ADA 수치가 상승된 골수종 흉수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Multiple myeloma is a plasma cell neoplasm mainly involving the bone marrow and skeletal system. Myelomatous pleural effusion is rare, accounting for less than 1%. In cases with high adenosine deaminase (ADA) activity, with lymphocytic exudate in the pleural fluid,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should be differentiated first. We report herein a rare case of a unilateral pleural effusion in a patient who was undergoing chemotherapy for multiple myeloma, with an ADA level of > 100 IU/L and lymphocytic exudate in the pleural fluid. An acid fast bacillus stai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test for tuberculosis were negative. Consequently,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myelomatous pleural effusion with elevated ADA activity. (Korean J Med 2016;91:316-320) |
|---|---|
| Bibliography: |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G704-000582.2016.91.3.009 |
| ISSN: | 1738-9364 2289-0769 |
| DOI: | 10.3904/kjm.2016.91.3.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