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교육 방안 - 공감 단계를 중심으로
연구배경 ‘디자인씽킹프로세스’ 교육은 5단계(공감, 정의, 발상, 프로토타입, 테스트)를 체험하며 진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씽킹프로세스’ 교육 진행에 있어 발생하는 어려움을 짚어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했다. 특히, 가장 핵심단계로 볼 수 있는 ‘공감’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먼저,‘디자인씽킹프로세스’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단계별 어려움 정도를 파악했으며, ‘공감’을 어렵다고 답한 학생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여 구체적인 문제점을 발견했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가장 어려운 단...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디자인포럼 Vol. 67; pp. 139 - 14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05.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3-9205 2586-4777 |
DOI | 10.21326/ksdt.2020.25.2.013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디자인씽킹프로세스’ 교육은 5단계(공감, 정의, 발상, 프로토타입, 테스트)를 체험하며 진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씽킹프로세스’ 교육 진행에 있어 발생하는 어려움을 짚어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했다. 특히, 가장 핵심단계로 볼 수 있는 ‘공감’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먼저,‘디자인씽킹프로세스’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단계별 어려움 정도를 파악했으며, ‘공감’을 어렵다고 답한 학생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여 구체적인 문제점을 발견했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가장 어려운 단계를 ‘공감’이라고 응답(45.2%)했으며, 그중에서도 ‘주제선정’, ‘자료수집’, ‘문제발견’ 의 접근을 어려워했다. 분석 결과에 따라, 학생들이 수월하게 ‘공감’ 단계에 접근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하였다.
결론 첫째, 주제를 선정하는 도입단계에서는 퍼실리테이터(Facillitator)가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둘째, 모인 자료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퍼실리테이터의 개입보다는 다양한 도구(tool)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한다.
Background ‘Design Thinking Process' of education consists five stages: Empathy, Define, Ideate, Prototype, and Test. In this study, we figured problems out while doing 'Design thinking process' in the class and tried to propose a way to solve these problems. Especially, we focused on 'Empathy' par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for 'Design Thinking Process'.
Methods A total of 195 students participated who have experienced 'Design Thinking Process' and analyzed 208 responses which is including duplicate answers. Additionally, we found out specific problems through interviewing students.
Result Students responded as the most difficult stage is 'Empathy' was the highest with 45.2%, and they answered 'Insight' is especially difficult. Also it found to be secondly difficult to approach 'Finding Subject' and 'Mapping'.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se follows to help students approach the 'Empathy' stage easily.
First, a facilitator should actively involved in the introduction stage of selecting a topic. Secondl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uses various tools rather than facilitator intervention. |
---|---|
Bibliography: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
ISSN: | 2233-9205 2586-4777 |
DOI: | 10.21326/ksdt.2020.25.2.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