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향유자의 기원과 성장에 대한 질적 연구
이 연구는 성인 독서 향유자를 대상으로 하여 그가 어떤 경로를 거쳐 독서 향유자로 탄생하고 성장하였는지를 질적으로 탐색하고, 독서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독서 교육의 궁극적 지향은 주체적인 독서 향유 능력을 지닌 평생 독자를 기르는 데에 있다. 이 연구는 바람직한 독서 향유자의 특성 중 하나로 독서 문화에 스스로 참여하는 적극적 표현 능력을 설정하고, 그러한 기준에 부합하는 성인 독서 향유자 4인을 선정하여 이들의 저서, 방송, 인터뷰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독서 향유자의 형성 경로를 탐색하고, 독서 교육에의 시...
Saved in:
Published in | 독서연구 Vol. 51; pp. 211 - 25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독서학회
30.05.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607 2713-9131 |
DOI | 10.17095/JRR.2019.51.7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성인 독서 향유자를 대상으로 하여 그가 어떤 경로를 거쳐 독서 향유자로 탄생하고 성장하였는지를 질적으로 탐색하고, 독서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독서 교육의 궁극적 지향은 주체적인 독서 향유 능력을 지닌 평생 독자를 기르는 데에 있다. 이 연구는 바람직한 독서 향유자의 특성 중 하나로 독서 문화에 스스로 참여하는 적극적 표현 능력을 설정하고, 그러한 기준에 부합하는 성인 독서 향유자 4인을 선정하여 이들의 저서, 방송, 인터뷰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독서 향유자의 형성 경로를 탐색하고, 독서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독서의 재미에 눈뜨게 한 경험으로부터 출발하여 ‘습’의 형성을 통해 한 단계 도약하였으며, 독서를 위한 최적의 시공간을 적극적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이들은 책의 물성과 정신성 양자에 대한 다각적 사랑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들 독서 향유자들은 독서를 통한 윤리적 정련에 의해 성장해 갔으며, 고립된 개체 상태에서 연결과 결합을 통해 다른 존재와 만났다. 또한 이들의 성장은 공유와 표현을 통해 독서가 지닌 개인성을 사회적 영역으로 확장해 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ways in which adult enjoying readers have been born and grown as reader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reading education.
The ultimate goal of reading education is to nurture lifelong readers with subjective reading enjoyment. This study set up the positive expressive ability to participate in the reading culture as a desirable reading enjoyment character. Four adult enjoying readers who met the criteria were selected and their books, broadcast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y started from the experience of opening their eyes to the fun of reading and made a leap through the formation of habits, and actively constructed optimal time and space for reading. They also possessed a multifaceted love for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book. They have grown up through ethical refinement through reading. They also extended the personality of reading through the sharing and expression to the social realm.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17095/JRR.2019.51.7 |
ISSN: | 1598-9607 2713-9131 |
DOI: | 10.17095/JRR.2019.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