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선물시장의 가격발견 효과 분석

2008년에 도입된 주식선물은 주식에 대한 공매도가 제약되는 개인 투자자에게 공매도를 대체할 수 있는 차별적 장점을 제공하고, 개별 주식에 대해 정밀한 헤지· 차익거래를 실행할 수 있는 투자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14년 1월부터 2017년 9월까지의 표본기간동안 일중자료를 이용하여 주식선물의 가격발견 기능과 시장조성자 도입 이벤트와 시장조성자에 대한 증권거래세 면제 이벤트 전·후 기간 동안 가격발견 효과의 차이를 검증하여 정책의 실효성을 평가했다. 주요한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전체 기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eonmul yeongu (Online) Vol. 26; no. 4; pp. 425 - 463
Main Authors 이우백, Woo-baik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파생상품학회 30.11.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988X
2713-6647
2713-664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2008년에 도입된 주식선물은 주식에 대한 공매도가 제약되는 개인 투자자에게 공매도를 대체할 수 있는 차별적 장점을 제공하고, 개별 주식에 대해 정밀한 헤지· 차익거래를 실행할 수 있는 투자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14년 1월부터 2017년 9월까지의 표본기간동안 일중자료를 이용하여 주식선물의 가격발견 기능과 시장조성자 도입 이벤트와 시장조성자에 대한 증권거래세 면제 이벤트 전·후 기간 동안 가격발견 효과의 차이를 검증하여 정책의 실효성을 평가했다. 주요한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전체 기간 동안 가격발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수준의 표본은 하루 중 현물과 선물 간 상호 피드백 관계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KOSPI200 선물시장의 사례와 같이 선물이 현물의 가격발견을 일방적으로 주도한다는 선행 연구와는 차별적인 결과로, 주식 선물시장에서는 현물과 대등한 수준의 정보 효과를 가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시장조성자 도입 이벤트와 증권거래세 면제 시행 이벤트 전·후 기간의 가격발견 효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서도 현물과 선물 중 특정 시장이 가격 발견을 주도하기보다는 현물과 선물간 상호 피드백하는 경향은 일관성을 유지했다. 본 연구의 표본기간동안 제시된 유동성의 변화와 가격발견의 효과를 볼 때, 주식선물시장 정책의 실효성은 제한적이며, 장기적 활성화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ice dynamics in the single stocks futures and spot markets. In order to enhance the liquidity of the stock futures market, Korea Exchange introduced the liquidity provider in 2014, and exempted the securities transaction taxes on stocks sold for hedging purposes of liquidity provider from 2015. This study performed a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based on spot-futures market linkag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liquidity policy by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price discovery around the event. The main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ample of price discovery over the entire period was evident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pot and futures. This implies that stock futures have information effect equivalent to spot pri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which futures lead the spot price discovery significantly as in the case of KOSPI200 futures market. Second, the tendency of feedback between spot and futures is consistent in price discovery even after introduction of liquidity provider and exemption of securities transaction tax. Overall,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stock futures market policy is limited during the sample period and the additional measures to enhance the long term activation are needed.
Bibliography:Korea Derivatives Association
http://www.kafo.or.kr
ISSN:1229-988X
2713-6647
2713-6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