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J. 에이어의 정의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에이어는 논리실증주의의 검증 원리를 도덕적 용어에 적용하여 정의주의를 주장한다. 도덕 판단은 분석적이지도 않고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하지도 않기 때문에 문자 그대로의 의미가 없고 진리 적합성을 지니지 않는다(비인지주의 논제). 도덕 판단은 무엇을 기술하거나 주장하지 않는다. 도덕 판단은 감정을 표현하고, 그래서 정의적 의미를 가진다. 도덕 판단은 인지적으로는 무의미하지만 정의적으로는 유의미하다(비기술주의 논제). 그러므로 도덕적 진리나 도덕적 사실은 존재하지 않고(도덕 반실재론 논제), 진정한 도덕적 불일치도 존재하지 않으며, 도덕적...
Saved in:
| Published in | 윤리연구, 1(111) Vol. 111; pp. 1 - 30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윤리학회
31.12.2016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982-5121 2982-5334 |
| DOI | 10.15801/je.1.111.201612.1 |
Cover
| Summary: | 에이어는 논리실증주의의 검증 원리를 도덕적 용어에 적용하여 정의주의를 주장한다. 도덕 판단은 분석적이지도 않고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하지도 않기 때문에 문자 그대로의 의미가 없고 진리 적합성을 지니지 않는다(비인지주의 논제). 도덕 판단은 무엇을 기술하거나 주장하지 않는다. 도덕 판단은 감정을 표현하고, 그래서 정의적 의미를 가진다. 도덕 판단은 인지적으로는 무의미하지만 정의적으로는 유의미하다(비기술주의 논제). 그러므로 도덕적 진리나 도덕적 사실은 존재하지 않고(도덕 반실재론 논제), 진정한 도덕적 불일치도 존재하지 않으며, 도덕적 가치에 대한 합리적 논증도 불가능하다(비합리주의 논제). 에이어의 정의주의는 기존의 윤리 이론들이 전제하고 있던 인지주의, 도덕 실재론, 합리주의와 같은 기본 가정을 부정하는 급진적 이론이다. 에이어의 정의주의는 `비자연주의·반직관주의 윤리학`, `비기술주의 윤리학`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정의적 의미를 통해 도덕 판단의 실천성을 규명한 점에서 메타윤리학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그러나 에이어의 정의주의는 비합리주의로 나아간 점에서는 잘못을 범하였다. 에이어의 정의주의는 메타윤리학의 영역에서 새로운 사고와 시야를 열어준 선구적 이론이다.
A. J. Ayer applied verification principle of logical positivism to moral terms, as a result developed the emotivist metaethical theory. According to emotivism, moral judgements are literally meaningless, so have not truth-aptness because they are neither analytic nor empirically verifiable(non-cognitivism thesis). Moral judgements are used not to describe something but to express emotions, so have emotive meaning. They are cognitively meaningless, but emotively meaningful(non-descriptivism). Therefore, there is neither moral truth and moral facts nor moral disagreement(moral anti-realism thesis), so there is no proceeding rational arguments over moral values(moral irrationalism thesis). Ayer`s emotivism is a radical theory which thoroughly rejects fundamental presuppositions as cognitivism, moral realism, and rationalism on which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were based. Ayer`s emotivism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metaethics in that it directed our attention toward non-naturalist·anti-intuitionist ethics and non-descriptivist ethics, and in that it found out practicality of moral judgements by showing their emotive meaning. However, it made a mistake of accepting irrationalism in moral arguments. In conclusion, his emotivism was the vanguard theory which opened the door of new thinking and vision in metaethics in those times. |
|---|---|
| Bibliography: | 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G704-000880.2016.1.111.001 |
| ISSN: | 2982-5121 2982-5334 |
| DOI: | 10.15801/je.1.111.2016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