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리듬 센서를 적용한 헬스케어 주얼리 디자인 제안 - 뉴트로 디자인을 접목한 팔찌를 중심으로
연구배경 전 세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더 가속화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규모는 점점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스마트 주얼리 시장은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에 비해 부진한 성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현재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뉴트로 디자인에 헬스케어 주얼리를 접목시켜 패션 주얼리 아이템으로 바이오리듬 센서를 적용한 헬스케어 주얼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뉴트로의 정의, 종류와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뉴트로패션 트렌드인 체크, 도트, 플라워 패턴을 접목하고자 한다. 또한...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디자인포럼 Vol. 70; pp. 71 - 84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02.2021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233-9205 2586-4777  | 
| DOI | 10.21326/ksdt.2021.26.1.007 | 
Cover
| Summary: | 연구배경 전 세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더 가속화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규모는 점점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스마트 주얼리 시장은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에 비해 부진한 성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현재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뉴트로 디자인에 헬스케어 주얼리를 접목시켜 패션 주얼리 아이템으로 바이오리듬 센서를 적용한 헬스케어 주얼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뉴트로의 정의, 종류와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뉴트로패션 트렌드인 체크, 도트, 플라워 패턴을 접목하고자 한다. 또한 금속에 색을 표현할 수 있는 칠보를 표현기법으로 헬스케어 주얼리 중 팔찌를 중심으로 디자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도움을 받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헬스케어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필요성을 증명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기존의 스마트 주얼리는 헬스케어 기능이 미흡한 점을 알 수 있었고, 이에 본 연구는 바이오리듬 센서를 탑재한 헬스케어 주얼리로 바이오리듬 확인이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항시성과 사용성이 용이한 손목착용형인 스마트 팔찌로 제작하고자 하였다. 셋째, 기존의 스마트 주얼리의 헬스케어 기능과 디자인 한계점을 보완하여 패션아이템으로서 착용할 수 있는 뉴트로 디자인 패턴을 반영하였고, 동시에 칠보기법을 접목시켜 표현의 범위를 확장하여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결론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뉴트로 트렌드를 반영한 차별적인 디자인은 소비자의 개성 추구의 만족과 니즈에 중촉시킬 바이오리듬 센서를 적용한 주얼리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서 헬스케어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여 소비자들의 선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Background The market size of wearable devices, accelerated by the global COVID-19 pandemic, is gradually expanding. However, currently, the smart jewelry market is not easily approaching consumers compared with other wearable devic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smart jewelry design as a fashion jewelry item that consumers prefer by grafting smart jewelry onto the New-tro design, which is the fad now.
Methods It identified the definition, type, and current state of wearable devices and grafted the New-tro fashion trend such as the patterns of check, dot, and flower patterns through existing precedent researches. It is planning to design by grafting enameling, which is a technique for decorating metals with colors, onto healthcare smart jewerly.
Resul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proved the necessity of a healthcare wearable device based on an actual case of receiving the help of a healthcare wearable devic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smart jewelry offers few health care benefits; thus, this study shows how to make a biorhythm sensor-equipped wristwatch-type smart bracelet that can be always on and has a high degree of usabilit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aesthetic beauty due to the focus on health care functional aspects of the bracelet, I applied a new-tro design pattern so that it can be worn as a fashion item. In addition, the range of expressions has been expanded by applying an enameled glass technique.
Conclusion A differentiated design reflecting the New-tro trend in healthcare wearable devices can satisfy consumers who pursuing personality. As suggesting the wearable devices design in the future through the healthcare smart jewelry design that can meet the needs of consumers, it is expected that the healthcare function will be effective to satisfy the good needs of consumers. | 
|---|---|
| Bibliography: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 
| ISSN: | 2233-9205 2586-4777  | 
| DOI: | 10.21326/ksdt.2021.26.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