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로봇의 눈동자 움직임을 통한 인간-로봇의 감정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연구배경 개인의 일상 속에서 로봇을 어렵지 않게 접하는 환경으로 변화함에 따라 HRI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셜 로봇과 인간간의 커뮤니케이션에서 감정적 교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RI에서 발생하는 감정 커뮤니케이션을 소셜 로봇의 눈동자 움직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즉 감정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매개체로 소셜 로봇의 눈동자의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소셜 로봇의 눈동자 움직임은 감정을 내포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로봇이 의도한 감정을 인식할 수 있고, 감...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디자인포럼 Vol. 63; pp. 129 - 13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05.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3-9205 2586-4777 |
DOI | 10.21326/ksdt.2019.24.2.011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개인의 일상 속에서 로봇을 어렵지 않게 접하는 환경으로 변화함에 따라 HRI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셜 로봇과 인간간의 커뮤니케이션에서 감정적 교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RI에서 발생하는 감정 커뮤니케이션을 소셜 로봇의 눈동자 움직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즉 감정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매개체로 소셜 로봇의 눈동자의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소셜 로봇의 눈동자 움직임은 감정을 내포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로봇이 의도한 감정을 인식할 수 있고, 감정 눈동자를 위해 도출된 컴포넌트의 조합에 따른 사용자 선호도가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소셜 로봇의 영상을 Type A, Type B를 바탕으로 감정 눈동자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고, 각 눈동자는 Ekman의 FACS(1977)에서 정의한 기쁨, 슬픔, 놀람의 감정을 기준으로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Type A가 Type B보다 로봇이 의도한 감정을 느끼는 데 어려움이 없었다. 이는 Type B의 눈동자 요소의 조합이 명확한 감정 전달이 어려운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각 Type에 따른 선호도 조사에서 Type A와 Type B 모두 선호하는 것으로 보여졌다. 이를 통해 눈동자를 통한 감정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것에 긍정적인 반응이 있음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 소셜 로봇은 인간과의 사회적 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상호간의 교류와 인간이 로봇을 통해 경험하는 부분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산업용 로봇 중심의 과거와는 달리 현재 소셜 로봇 시장의 성장으로 일반사용자들은 점차적으로 로봇을 접할 기회가 빈번해지고 있어 감정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의 활용은 더욱 커질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s the robot changes into an environment that makes it difficult to see the robot in everyday life,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HRI. Therefore, research on emotional interactions in communication between social robot and humans is actively conducted. In this study, emotional communication in HRI can be achiev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pupil of the social robot. In other words, we will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social robot's eyes as the main mediator of emotional communication.
Methods The movement of the pupil of the social robot has emotions, and the user can recognize the intention of the robot and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user preferenc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components derived for the emotional pupil. For this purpose, the emotional pupil prototype was created based on Type A and Type B images of the existing social robot, and each pupil was derived from the feelings of joy, sorrow, and surprise defined by Ekman 's FACS (1977).
Result Type A had no difficulty in feeling the robot's intended emotion than Type B. This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of the pupil elements of Type B is due to the difficulty of conveying clear emotions. However, both Type A and Type B were found to be preferred in each type of preference survey. This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positive reaction to emotional communication through the eyes.
Conclusion As social robots can not exclude social relations with humans, mutual exchanges and human experiences through robots are important. Unlike the past, which is centered on industrial robots, the growth of the social robot market is likely to increase the use of emotional communication. |
---|---|
Bibliography: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
ISSN: | 2233-9205 2586-4777 |
DOI: | 10.21326/ksdt.2019.24.2.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