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및 기술경영 역량에 따른 중소기업의 고용효과 비교분석 -기술금융 기술력 평가 대상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혁신 및 기술경영 역량에 따라 중소기업의 고용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혁신 및 기술경영 역량의 측정 지표로는 기술력 평가결과인 기술등급(T등급)을 사용하였으며, 고용효과는 고용계수와 고용증가율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고용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업분류, 자산 및 자본규모, 업력, 고용인원을 공변수로 지정하여 통제한 후, 공분산 분석을 통해 혁신 및 기술경영 역량에 따른 고용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상위 기술력 기업(T1-T2)의 경우 노동집약 유형에 따라 고용창출 효과의 크기...
Saved in:
Published in | 지식재산연구 Vol. 14; no. 3; pp. 233 - 26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30.09.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5945 2733-8487 |
DOI | 10.34122/jip.2019.14.3.233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혁신 및 기술경영 역량에 따라 중소기업의 고용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혁신 및 기술경영 역량의 측정 지표로는 기술력 평가결과인 기술등급(T등급)을 사용하였으며, 고용효과는 고용계수와 고용증가율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고용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업분류, 자산 및 자본규모, 업력, 고용인원을 공변수로 지정하여 통제한 후, 공분산 분석을 통해 혁신 및 기술경영 역량에 따른 고용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상위 기술력 기업(T1-T2)의 경우 노동집약 유형에 따라 고용창출 효과의 크기가 다르며, 상위 기술력 기업(T3-T4)의 경우 지속적인 고용증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혁신성장 중심의 산업정책은 일정부분 신규 및 직접 고용창출의 효과가 있으며, 혁신 및 기술경영 역량에 따라 고용효과의 크기가 다른 만큼 기업의 혁신 및 기술경영 역량, 노동집약 유형을 고려한 차별적 고용정책 수립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initiated to ascertain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mployment effects of SMEs depending on innovation and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ies. As a measure of innovation and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ies, technology grade, which is the result of technology appraisal is used and the employment effect is based on employment coefficient and employment growth rate.
We classify the industrial classifications, assets and capital size, age of the company, and the number of employees that can affect the employment effect as the covariate. After that, the analysis of covariance is used to analyze the employment effects according to innovation and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ies. As a result, the top-level technology firms(T1-T2), the size of the employment creation effect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labor intensive, and the high-level technology companies (T3-T4) are continuously increasing employment.
Therefore, the industrial policy centered on innovation growth, which the government is currently pursuing, has some effects of direct and new job creation. In addition, because the size of employment effect varies depending on innovation and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ies, it i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support discriminatory employment policy considering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ies and the labor-intensive type of enterprises. |
---|---|
Bibliography: | Korea Institute of Intellectual Property https://www.kiip.re.kr/journal/view.do?bd_gb=jor&bd_cd=1&bd_item=0&po_d_gb=&po_no=J00054&po_j_no=J00054&po_a_no=371 |
ISSN: | 1975-5945 2733-8487 |
DOI: | 10.34122/jip.2019.14.3.2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