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의식이 지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공동체의식이 지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다. 오늘날 한국 사회는 파편화와 단절화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지역 내 사회적 관계와 공동체를 통한 공공문제해결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정부도 또한 공동체의 역할 및 중요성을 인식하여 지역사회의 통합 및 지역만족을 증대시키고, 지역의 활력을 증대시키고자 다양한 정책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 질문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2020년도 서울서베이 지역사회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인 서울은 1960년대 이후 도시화가 가속화되면서 도시공...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행정연구 Vol. 31; no. 1; pp. 157 - 186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행정연구원
30.03.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797X 2733-9548 |
DOI | 10.22897/kipajn.2022.31.1.006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공동체의식이 지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다. 오늘날 한국 사회는 파편화와 단절화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지역 내 사회적 관계와 공동체를 통한 공공문제해결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정부도 또한 공동체의 역할 및 중요성을 인식하여 지역사회의 통합 및 지역만족을 증대시키고, 지역의 활력을 증대시키고자 다양한 정책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 질문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2020년도 서울서베이 지역사회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인 서울은 1960년대 이후 도시화가 가속화되면서 도시공동체의 미발달 및 변형이라는 결과를 낳으면서, 낮은 공동체의식 회복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를 반영하여 서울시는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공동체성 회복을 위해서 2012년부터 마을 만들기 지원조례를 제정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마을공동체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공동체의식은 지역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역주민들의 욕구의 통합과 충족은 지역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주민의 지역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개인들이 각기 가진 문제들을 서로 공유하여 지역의 공유된 문제로 의제화하고, 지역의 공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는 공동체의식 수준으로도 발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주민 간 개인과 지역의 문제를 활발하게 상호교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sense of community on community satisfaction. These days, solving public problems through social relations and communities in the region gets much attention as fragmentation and disconnection among people continue. Recognizing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community, the government also implements various policies to increase community integration and regional satisfaction, and to increase regional vitality.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2020 Seoul Survey Community Survey”. As urbanization accelerated since the 1960s, Seoul, the subject of analysis, resulted in rapid deterioration of urban communities. Thus restoring low sense of community was on the table for public debate. Reflecting thi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enacted a village development support ordinance since 2012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restore the community of citizens, and has been implementing various village community projects to the present. The results found that the overall sense of commun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ty satisfaction, but the integration and fulfillment of needs of resid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ty satisfac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in order to improve resident’s community satisfaction, individuals need to share their problems with each other to agenda them as shared community problems, and to develop into a level of sense of community that cooperates to solve shared community problems. This implies that various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for residents to actively interact with individual and regional issues. |
---|---|
Bibliography: | The Korean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
ISSN: | 1226-797X 2733-9548 |
DOI: | 10.22897/kipajn.2022.31.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