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심 및 구토 환자에서 유문륜의 압력 측정 및 엔도플립(EndoFLIP)의 유용성
오심, 구토는 당뇨 또는 원인 불명으로 자주 발생하는 증상 중의 하나이지만 그 정확한 원인과 치료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1 특히 당뇨가 있는 환자 등에서 위배출능이 떨어져 있으면서 원인 불명의 위운동 장애가 있으며 구토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2 이렇게 명확하게 위출구 폐쇄(gastric outlet obstruction)가 없으면서 위배출능 장애가 있는 경우, 유문륜의 기능성 저항이 있는 경우가 있었다고 보고되어 왔다. 3,4 최근 미국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Saved in: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68; no. 6; pp. 334 - 33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소화기학회
31.12.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992 2233-6869 |
Cover
Summary: | 오심, 구토는 당뇨 또는 원인 불명으로 자주 발생하는 증상 중의 하나이지만 그 정확한 원인과 치료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1 특히 당뇨가 있는 환자 등에서 위배출능이 떨어져 있으면서 원인 불명의 위운동 장애가 있으며 구토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2 이렇게 명확하게 위출구 폐쇄(gastric outlet obstruction)가 없으면서 위배출능 장애가 있는 경우, 유문륜의 기능성 저항이 있는 경우가 있었다고 보고되어 왔다. 3,4 최근 미국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위마비 임상 연구 모임에서 조직학적 연구를 통하여 이런 경우 카할 간질 세포의 숫자가 떨어져 있어 위벽의 운동을 일으키는 기능이 떨어져 있는 것으로 추측하였다. 5,6 이러한 유문륜의 압력은 10 mmHg 이상이면 상승한 것으로 간주되는데, 당뇨가 있으면서 오심, 구토가 있는 환자의 58%에서 유문륜의 압력이 상승되어 있었다는 보고는 과거에도 있었다. 4 Functional lumen imaging probe의 약자를 따서 만든 기계인 엔도플립(EndoFLIP; Cropson, Galway, Ireland)은 주로 위식도 경계부에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는데, 기존의 내압검사는 압력만 측정 가능한 데 반해서, 엔도플립으로는 위유문륜의 탄성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7 최근 연구에 의하면 유문륜의 탄성도와 위배출능이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며, 유문륜의 압력과는 관련이 없다고 하였다. 8,9 여기서 소개하고 있는 연구에서는 오심과 구토가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내압검사와 엔도플립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10 엔도플립은 240 cm 길이의 카테터와 3 mm 크기의 풍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측단부에 위치한 8 cm 크기의 풍선에 17개의 전극이 5 mm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11 109명의 오심, 구토 환자를 대상으로 슬리브 내압검사법으로 유문륜 압력을 측정하였을 때 기저 압력은 다소 상승되어 있었는데(17.2 mmHg), 기저 압력이 상승되어 있던 환자 중 8.6%는 정상 위배출시간을 보였고 47.4%는 위배출시간이 늘어나 있었으며 나머지 40%에서는 매우 늘어나 있었다. 10 엔도플립 측정은 114명에서 행하였는데, 위배출시간이 떨어져 있던 55명 환자들(8.0±1.0 mm 2 /mmHg)에서 정상이었던 35명(12.5±1.4 mm 2 /mmHg)에 비해 탄성도가 유의하게 떨어져 있었다. 10 또한, 엔도플립의 풍선과 내압검사의 수축압력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9, p<0.002). 10 그리고, 내압검사에 유문륜 압력이 정상이고 위배출능도 정상이었던 환자들에서 엔도플립 풍선 압력은 15.2±1.4 mmHg였던 것에 반해 위배출능이 심하게 떨어져 있던 환자에서도 유문륜 압력이 정상임에도 엔도플립 풍선 압력은19.4±1.4 mmHg로 유의하게 상승되어 있었다(p<0.01). 10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G704-000307.2016.68.6.009 |
ISSN: | 1598-9992 2233-68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