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 선수의 서비스 입스 경험

〔목적〕 본 연구는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배드민턴 선수의 서비스 입스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서비스 입스를 경험한 배드민턴 선수와 그들의 복식 파트너 및 지도자 총 1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원자료는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해 전사 및 코딩, 패러다임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개방코딩 결과, 배드민턴 서비스 입스에 관한 59개 개념, 31개 하위범주, 1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축코딩 결과, 서비스 입스, 서비스 실수, 서비스 숙련도, 서비스 불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32; no. 1; pp. 112 - 125
Main Authors 전재연, Jae-youn Jeon, 김현주, Hyeon-ju Kim, 김정수, Jeong-su Kim, 박상혁, Sang-hyuk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과학원 31.03.2021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21.32.1.11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배드민턴 선수의 서비스 입스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서비스 입스를 경험한 배드민턴 선수와 그들의 복식 파트너 및 지도자 총 1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원자료는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해 전사 및 코딩, 패러다임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개방코딩 결과, 배드민턴 서비스 입스에 관한 59개 개념, 31개 하위범주, 1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축코딩 결과, 서비스 입스, 서비스 실수, 서비스 숙련도, 서비스 불안, 과거 경험 각인, 경기의 민감성, 성취 압박감, 서비스 연습, 심리 조절, 전술적 대처, 파트너지지, 지도자 코칭, 경험자 조언, 입스 극복, 입스 지속 등의 범주들이 패러다임 모형으로 구조화되었다. 셋째, 선택코딩 결과, 본 연구의 핵심범주는 ‘배드민턴 서비스 입스’로 도출되었다. 즉, “배드민턴 서비스 입스”는 배드민턴 선수들이 경기상황에서 서비스 기술을 수행할 때 손 떨림이나 몸과 팔의 경직, 과도한 긴장과 불안, 서비스 실수 걱정 등의 생리적, 심리적 증상으로 스윙 동작에 오류가 발생해 의도한 서비스 동작을 하지 못하고 심각한 실수를 하는 만성적인 수행 장애이다. 〔결론〕 본 연구가 배드민턴 서비스 입스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되고, 서비스 입스로 인해 심리적 어려움을 배드민턴 선수에게 공감을 형성하여 효과적인 극복 방안을 강구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service yips in badminton players in depth through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4 participants in total, consisting of badminton players who experienced service yips, their doubles partners and coaches. The collected raw data were analyzed base on derive transcription, coding and paradigm models through grounded theory method. [Results] First, as a result, 59 concepts, 31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in regard to badminton service yips were deduced from open coding. Second, in axial coding, it was structured in a paradigm model by categories such as service yips, service mistakes, service proficiency, service anxiety, the imprinting experiences, the importance competition, the pressure of achievement, service practice, psychological control, tactical handling, support from partners, leaders’ coaching, advice from experienced ones, overcoming yips and persistent yips. Third, selective coding resulted in ‘Badminton service yips’ as the core category of this study. ‘Badminton service yips’ is a chronic performance impairment associated with badminton players making severe errors in swing motion on a service not intended by them that it is due to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hand tremors, overall body stiffness, arms stiffness, overstress, overanxiety, and concern over service mistakes. [Conclusion] We expect our study can b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Badminton service yips’ and a useful reference for badminton players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difficulties caused by their service yips. The findings in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 badminton service yips.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21.32.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