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일자리의 질이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통합 리더십의 조절 효과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일자리의 질이 공공봉사동기,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혁신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통합적인 리더십이 이들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실증하였다. 공직생활실태조사의 2018, 2019, 2020년도 원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일자리의 질은 조직 구성원의 공공봉사 동기 수준을 높이고, 일자리의 질의 공공봉사동기에 대한 효과는 가속적으로 증가하는 지수함수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자리의 질은 통합적 리더십과 상승적인 상호작용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일자리 질이 높을수록 조직몰입...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행정연구 Vol. 31; no. 1; pp. 59 - 99
Main Authors 김건식, Konshik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행정연구원 30.03.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797X
2733-954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일자리의 질이 공공봉사동기,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혁신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통합적인 리더십이 이들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실증하였다. 공직생활실태조사의 2018, 2019, 2020년도 원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일자리의 질은 조직 구성원의 공공봉사 동기 수준을 높이고, 일자리의 질의 공공봉사동기에 대한 효과는 가속적으로 증가하는 지수함수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자리의 질은 통합적 리더십과 상승적인 상호작용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일자리 질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늘어나며, 조직몰입에 대한 효과는 가속적으로 증가하는 지수함수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자리의 질과 통합적인 리더십 수준 간의 상승적인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셋째, 일자리 질 수준이 높을수록 공직자의 조직시민행동이 늘어나며, 일자리의 질 수준과 조직시민행동 간에는 지수함수적인 관계가 있고, 일자리의 질과 통합 리더십 수준 간의 상승적인 상호작용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넷째, 일자리 질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가시키고, 혁신행동이 증가하는 정도는 일자리 질이 개선될수록 더욱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자리 질이 혁신행동이 관계하는 정도는 통합 리더십 수준이 높을수록 상승적인 상호작용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일자리 질의 사회적인 속성이 공공봉사동기,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및 혁신행동을 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추동력이며, 이와 같은 조직 효과성과 성과는 리더의 태도와 행동에 따라 더욱 강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public job quality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the present paper demonstrates that the integrative leadership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quality and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public employees. The study results using a pooled cross-sectional data provided by the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of the Korean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showed that, first, the job quality exponentially increased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quality positively interacted with the integrative public leadership. Second, public job quality positively relates to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showed an exponential increase, meaning that the increasing rate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reases as the job quality increases. Th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he public job quality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lso founded. Third, the public job quality exponentially increased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job quality positively interacted with the integrative leadership. Fourth, the innovative behavior increased as the quality of jobs increased, and the increasing rate of the innovative behavior increased as the level of job quality increased. This study also verified that the integrative public leadership moderated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job quality and innovative behavior in the public secto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ocial attributes of the public job quality are the driving force that accelerates the increase in public service motiv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This study also implies that suc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can be further strengthened under the integrative leadership of managers.
Bibliography:The Korean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ISSN:1226-797X
2733-9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