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전통윤리교육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이 글은 ‘반(反)도덕과교육론’에 대한 반론을 통하여 ‘도덕’ 교과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전통윤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전통윤리교육의 문제점을 제7차 교육과정과 현 『도덕』교과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위상을 통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현실과의 괴리를, 교과서의 문제점으로는 내용에서 시민윤리와 전통윤리의 부조화를 다루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구조적·제도적 측면에서는, ① 초등학교 교과서 개발에 전통윤리 전문가의 참여 확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윤리연구, 1(68) Vol. 68; pp. 197 - 221
Main Authors 장승희, Seung Hee J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0.03.200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68.200803.19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글은 ‘반(反)도덕과교육론’에 대한 반론을 통하여 ‘도덕’ 교과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전통윤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전통윤리교육의 문제점을 제7차 교육과정과 현 『도덕』교과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위상을 통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현실과의 괴리를, 교과서의 문제점으로는 내용에서 시민윤리와 전통윤리의 부조화를 다루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구조적·제도적 측면에서는, ① 초등학교 교과서 개발에 전통윤리 전문가의 참여 확대, ② 전통윤리 관련 교재 개발과 보급, ③ 초등학교 교사교육을 통한 전통윤리 가치의 중요성 강조, ④ 전통문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초등학생들의 체험 기회 제공을, 교육방법적 측면에서는, ① 전통적 수양 방법의 도입을 통한 인격교육 프로그램의 강화, ② 전통예절의 본질 파악과 현대적 형식과의 조화 모색, ③ 교사들을 통한 전통적 가치 사례 적극 활용 유도 등을 제시하였다. 오늘날 가정, 사회, 학교 등 학생들의 도덕적 사고와 행동이 이루어지는 사회환경적 문제점이 심각하다. 세계적으로 확대되는 신자유주의 물결, ‘돈’만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천민자본주의의 보편화, 물질과 쾌락에 의해 메말라가는 사회정서, 상업주의에 물든 아동·청소년 문화의 타락, 가정 붕괴에 따른 안정감의 상실, 경쟁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학교 교육의 문제 등, 도덕교육의 위상이 확고해지기 어려운 상황으로 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는 ‘도덕교육’, 특히 ‘전통윤리교육’에 대한 재점검을 통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기본예절과 품성함양에 대해 재고하여야 할 시점이 바로 지금이라고 볼 수 있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ation a planning of vitalization of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First of all, I saw necessity of the moral subject, on the base of argument against the theory of anti-moral education. A point of problem of the 7th curriculum is a gap the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 A point of problem of textbook is disharmony civic ethics and traditional ethics in contents. Therefore I proposed improvement methods in two aspects. One is related to curriculum, the other to educational method. In a aspect of curriculum, it needs to participate of an expert for making a textbook, make and supply teaching materials of traditional ethics, stress elementary teachers importance of traditional value, and provide students with a experience chance. In a aspect of educational method. I provided to reinforce building character using traditional methods, harmony spirits of traditional ethics and manners of today etiquette, and teachers' positive use traditional value case. Today we should be reflect seriously moral crises and moral anomie. We must be recover traditional value stressing moral education to overcome this problems.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G704-000880.2008.1.68.004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68.200803.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