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조혈모세포 이식 후 발생한 호지킨림프종
이식 후 림프증식 질환은 이식 환자에서 면역 억제로 인하여 나타나는 치명적 부작용으로서 보통 Epstein-Barr 바이러스 (EBV) 감염에 따른 저항력 약화가 발생 원인으로 추정된다. 36세 남자가 혈관면역모세포 T세포림프종 치료를 위한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후 673일째 오한,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여 다발성 림프절 비대가 발견되었다. 조직검사 및 면역화학염색으로 Reed-Sternberg 세포와 EBV를 확인하였으며 호지킨 림프종으로 진단되었다. 총 8주기의 ABVD 복합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으며 잔단 후 15개월이 경과한 현...
Saved in: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86; no. 6; pp. 774 - 780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내과학회
01.06.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9364 2289-0769 |
DOI | 10.3904/kjm.2014.86.6.774 |
Cover
Summary: | 이식 후 림프증식 질환은 이식 환자에서 면역 억제로 인하여 나타나는 치명적 부작용으로서 보통 Epstein-Barr 바이러스 (EBV) 감염에 따른 저항력 약화가 발생 원인으로 추정된다. 36세 남자가 혈관면역모세포 T세포림프종 치료를 위한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후 673일째 오한,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여 다발성 림프절 비대가 발견되었다. 조직검사 및 면역화학염색으로 Reed-Sternberg 세포와 EBV를 확인하였으며 호지킨 림프종으로 진단되었다. 총 8주기의 ABVD 복합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으며 잔단 후 15개월이 경과한 현재 완전관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본 증례는 자가조혈모세포 이식 후 발생한 호지킨림프종으로 국내에서는 첫 보고 사례이다.
Post-transplantation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PTLD) is a serious complication that can develop after either solid organ o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The incidence of Hodgkin`s lymphoma (HL) ranges from 0.5-1.0% of PTLD after HSCT without T-cell depletion. Here, we report a case of HL-PTLD that occurred after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an angioimmunoblastic T-cell lymphoma (AITL). A 36-year-old patient developed fever and chills with multiple lymphadenopathies at day 673 after auto-HSCT for AITL. Three months after the transplant, the patient developed fever with elevated plasma Epstein-Barr virus (EBV)-PCR values. The excisional biopsy revealed HL at Ann Arbor stage IIIB. A total of 8 cycles of chemotherapy with ABVD please define were performed, and the patient has remained disease-free. To our knowledge, this is first case report of HL-PTLD after auto-PBSCT in Korea. (Korean J Med 2014;86:774-780) |
---|---|
Bibliography: |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G704-000582.2014.86.6.021 |
ISSN: | 1738-9364 2289-0769 |
DOI: | 10.3904/kjm.2014.86.6.7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