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 월드 챔피언십 관람 동기수준의 서비스품질인식, 심리적 경험 및 사후행동에 대한 기능연구
본 연구는 F-1 경기(Formula One World Championship)의 서비스 품질이 심리적 경험을 통해 긍정적 피드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경로 분석과 관람동기의 수준에 따른 서비스 품질 경험 모형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설문지법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 동기집단이 저 동기 집단보다 모든 서비스 품질 경험 및 만족요인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로 분석을 통해 서비스 품질 인식은 긍정적 사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으며, 심리적 경험을...
Saved in: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25; no. 4; pp. 759 - 771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1.12.2014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4.25.4.759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F-1 경기(Formula One World Championship)의 서비스 품질이 심리적 경험을 통해 긍정적 피드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경로 분석과 관람동기의 수준에 따른 서비스 품질 경험 모형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설문지법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 동기집단이 저 동기 집단보다 모든 서비스 품질 경험 및 만족요인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로 분석을 통해 서비스 품질 인식은 긍정적 사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으며, 심리적 경험을 통해서도 긍정적인 사후 행동에 부분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기화 수준이 높은 집단은 프로모션을 통한 심리적 경험이 긍정적인 사후행동 유도에 유리하며, 상대적으로 동기화 수준이 낮은 집단은 프로모션 요인과 경기관람요인 모두를 통해서 긍정적인 피드백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F-1 경기는 고 동기 집단에게는 관람요인 만족, 그리고 저 동기와 고 동기 집단 모두에 대한 프로모션강화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ervice quality, psychological experiment, and positive feedback inclu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motivation at Formula One World Championship. Therefore,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divided and compared by the level of motivation. By using questionnaire method,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high motivation group indicated a higher-level of service quality, psychological experiment, and positive feedback than low motivation group``s. Second, service quality had an influence on positive feedback directly and indirectly with the psychological experiment as a mediator. Third, it would be more effective for high motivation group that driving positive feedback through promotion while both promotion and watch is effective for low motivation group to drive positive feedback. Thus, promotion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both high and low motivation group and the watch needs to be strengthened in high motivation group. |
---|---|
Bibliography: | G704-000739.2014.25.4.016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4.25.4.7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