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애착 표상 및 양육 행동과 영아 애착 유형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영아 애착 유형과 어머니 양육 행동과의 관련성, 어머니의 성인 애착 표상과 어머니 양육 행동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12-15개월의 영아들과 그들의 어머니들 40명이 참여하였다. 어머니의 성인 애착 유형을 평가하기 위해 성인애착면접이 이루어졌고, 영아 애착 유형을 평가하기 위해 낯선 상황실험이 평가되었다. 어머니들의 자녀에 대한 양육행동들은 긍정적 정서, 간섭하는(interfering), 분리된/혼란에 빠진, 잘못된 정서적 반응, 적대적 척도들을 통해 어머니-영아들의 자유놀이 상황 동안 관찰 평가되어...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11; no. 1; pp. 31 - 4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놀이치료학회
28.02.200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0858 2384-0153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영아 애착 유형과 어머니 양육 행동과의 관련성, 어머니의 성인 애착 표상과 어머니 양육 행동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12-15개월의 영아들과 그들의 어머니들 40명이 참여하였다. 어머니의 성인 애착 유형을 평가하기 위해 성인애착면접이 이루어졌고, 영아 애착 유형을 평가하기 위해 낯선 상황실험이 평가되었다. 어머니들의 자녀에 대한 양육행동들은 긍정적 정서, 간섭하는(interfering), 분리된/혼란에 빠진, 잘못된 정서적 반응, 적대적 척도들을 통해 어머니-영아들의 자유놀이 상황 동안 관찰 평가되어졌다. 자료 분석은 어머니 성인애착 표상에 따라 양육행동이 있는지, 영아 애착 유형별로 양육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 양육 행동과의 관련성에 있어서, 긍정적 정서, 간섭하는, 잘못된 정서적 반응 양육행동들이 어머니 성인 애착 표상과 영아 애착 유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relatedness between maternal caregiving behaviors and infant's attachment patterns and (2) the relatedness between m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maternal caregiving behaviors. The subjects were forty 12-15 month old infants and their mothers.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Main & Goldwyn, 1984) was used to assess mother's attachment representation. The Strange Situation(Ainsworth, 1978) was used to classify infant's attachment relationship. As the results, Maternal caregiving behaviors(positive affect, intrusive behavior, affective errors) were related to m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infant attachment classifications. KCI Citation Count: 9 |
---|---|
Bibliography: | 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G704-SER000000779.2008.11.1.002 |
ISSN: | 1229-0858 2384-01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