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세포암종 환자의 예후 인자 및 Okuda 병기에 따른 생존기간에 대한 고찰
목적: 원발 간세포암종은 기존의 만성 간염을 가지고 있거나 간경변을 동반한 환자에서 주로 발병한다. 간경변을 동반한 간세포암종 환자의 예후는 잔존 간기능과 종양 자체의 특성에 따라 좌우되며 이러한 변수들의 상대적인 예후 가치는 확실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간세포암종의 병기 결정은 다양한 병기체계가 있으나 장단점이 있으며, 종양 인자와 간기능 인자가 포함된 Okuda 병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237명의 간세포암종 환자들에 대해 이미 알려진 예후인자와 Okuda 병기체계를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Saved in:
|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46; no. 4; pp. 283 - 290 |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소화기학회
30.10.200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9992 2233-6869 |
Cover
| Summary: | 목적: 원발 간세포암종은 기존의 만성 간염을 가지고 있거나 간경변을 동반한 환자에서 주로 발병한다. 간경변을 동반한 간세포암종 환자의 예후는 잔존 간기능과 종양 자체의 특성에 따라 좌우되며 이러한 변수들의 상대적인 예후 가치는 확실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간세포암종의 병기 결정은 다양한 병기체계가 있으나 장단점이 있으며, 종양 인자와 간기능 인자가 포함된 Okuda 병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237명의 간세포암종 환자들에 대해 이미 알려진 예후인자와 Okuda 병기체계를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부터 2002년까지 간세포암종으로 진단된 2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 조사를 하였다. 나이 및 성별, 간경변 동반 여부, Child-Pugh 분류, 종양 크기, 알부민, 빌리루빈 그리고 α-FP 수치, 복수 및 간성 혼수 유무 그리고 Okuda 병기 등을 조사하여 간세포암종 환자의 예후 및 생존기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평균 나이는 57.5세였고, 남자가 많았다(79.7%). 214명(90.3%)이 간경변을 동반하고 있었고 70%가 만성 B형 간염을 가지고 있었다. 2004년 6월 30일까지 144명(60.8%)이 사망하였고 평균 생존기간은 25.7개월이었다. 평균 생존기간은 빌리루빈, α-FP, 복수, Child-Pugh 분류, 종양의 크기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나(각각 p<0.001), 나이와 성별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Okuda 병기체계에 따른 평균 생존기간은 I기 35.8개월, II기 11.9개월 그리고 III기 8.5개월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결론: 간세포암종 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은 Okuda 병기체계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처음 Okuda 병기가 발표되었을 때보다 생존율이 향상되었다. 향후 간세포암종 초기 예후에 대한 정확한 분별을 위하여 α-FP과 종양 형태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Aims: There are several staging systems to decide the stag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but yet incomplete. Okuda stage which includes both tumor characteristics and liver function is widely use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usefulness of known prognostic factors and Okuda staging system in 237 cases of HCC.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237 cases of HCC diagnosed from 2000 to 2002 was performed. We analyzed prognostic factors such as age, sex, liver cirrhosis, Child-Pugh classification, tumor size, albumin, bilirubin, α-FP, ascites, encephalopathy and Okuda stage. Prognostic analysis was performed for single variables and estimating survival distributions were analyzed by the Kaplan-Meier method, statistically compared by the log-rank test. Results: Patients had a mean age of 57.5 years and were predominantly men (79.7%). Liver cirrhosis were noticed in 214 cases (90.3%). The overall median survival period was 25.7 months. The median survival period was correlated to bilirubin, ascites, α-FP, tumor size, and Child-Pugh classification, but not to age, sex, and pattern of viral infection. The median survival period of the Okuda stage I, II and III cases was 35.8, 11.9 and 8.5 months (p<0.001). Conclusions: The median survival period of patients with HCC i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Okuda staging system, and survival period has improved than the initial data when the Okuda staging system was published in 1985. However, in order to discriminate early staged HCC more accurately, other prognostic factors such as α-FP and tumor morphology should be included in future staging system for HCC KCI Citation Count: 0 |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G704-000307.2005.46.4.005 |
| ISSN: | 1598-9992 2233-68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