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성 성조숙증 여아에서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치료 중 성장속도에 따른 임상 인자들의 비교
배경: 진성 성조숙증은 최종성인신장의 감소가 초래될 수 있어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에 의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진성 성조숙증 여아들에서 GnRHagonist를 치료하는 동안 성장속도에 따른 치료 효과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부터 2007년까지 고려대학교병원 소아내분비클리닉에서 GnRH 자극검사로써 성조숙증이 진단되고 GnRH agonist 투여를 1년 이상 받은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장속도를 5cm/년미만 군과 5cm/년 이...
        Saved in:
      
    
          | Published in |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Seoul) Vol. 25; no. 3; pp. 206 - 212 |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내분비학회
    
        30.09.2010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093-596X 2093-5978  | 
Cover
| Summary: | 배경: 진성 성조숙증은 최종성인신장의 감소가 초래될 수 있어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에 의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진성 성조숙증 여아들에서 GnRHagonist를 치료하는 동안 성장속도에 따른 치료 효과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부터 2007년까지 고려대학교병원 소아내분비클리닉에서 GnRH 자극검사로써 성조숙증이 진단되고 GnRH agonist 투여를 1년 이상 받은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장속도를 5cm/년미만 군과 5cm/년 이상 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의 임상적 특성 및 성장속도와 관련된 인자들을 비교 분석 하였으며, 2년 간의 예측성 인신장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성장속도 5cm/년 이상 군이 5cm/년 미만 군에 비하여 치료 시작 시의 역연령과 골연령이 낮았다(7.8 ± 0.9 year vs. 8.4 ± 0.5year, 9.4 ± 1.2 year vs. 10.1 ± 0.9 year, respectively) (P<0.05). 예측 성인신장은 치료 시작 시에는 비슷하였으나, 치료 후에 5cm/년 이상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전체 환아의 성장속도는 치료 시작 시 역연령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0.45, P<0.05), 치료 후의 예측성인신장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51, P<0.01). 치료 후의 예측성인신장은 치료기간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31, P<0.05). 결론: 진성 성조숙증 환아에서 GnRH agonist 치료 중 최종성인 신장을 크게 하기 위해서 적절한 성장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치료 중 성장속도는 치료 시작 연령과 밀접한 역상관 관계가 있어 조기 치료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vorable factors for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 treatment with regard to the growth velocity and the predicted adult height (PAH) in 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 girls.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and auxological parameters in 46 CPP girls who were treated with GnRH agonist at the pediatric endocrinology clinic of Korea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1 to August 2007. We divided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growth velocity of 5 cm/yr and we assessed the 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growth velocity. We also assessed the changes in PAH for two years. Results: The pretreatment chronological age and bone age were significantly younger in the high growth velocity group (>5cm/yr) compared to that of the low growth velocity group (7.8 ± 0.9 year vs. 8.4 ± 0.5 year, 9.4 ± 1.2 year vs. 10.1 ± 0.9 year, respectively) (P<0.05). The PAH after treatment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high growth velocity group (>5cm/yr)(P<0.05). Growth velocity during treatment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retreatment chronological age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AH after one and two years of treatment (r=-0.45, P<0.05 and r=0.51, P<0.01). PAH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reatment duration (r=0.31, P<0.05). Conclusion: In our study, the growth velocity during GnRH agonist treatment was negatively related to age at the initiation of treatment. Therefore, earlier treatmen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outcomes and to maintain appropriate growth velocity in CPP girls. | 
|---|---|
| Bibliography: | The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G704-001505.2010.25.3.009  | 
| ISSN: | 2093-596X 2093-59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