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폐색질환에 따른 대장 종양의 유병률과 위험인자
목적: 대장 종양과 관상동맥폐색질환은 국내에서 모두 유병율이 높아 주된 사망의 원인이 된다. 남성, 흡연, 고지혈증, 당뇨, 그리고 비만과 같은 위험인자들을 공유하고 있지만, 관상동맥폐색질환에 따른 대장종양의 유병률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따라서, 저자들은 이 연구에서 대장 종양과 관상동맥폐색질환 간의 임상적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대장내시경검사 전후에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176명(남자: 101명, 평균나이: 62.1±9.7세)의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관상동...
Saved in:
Published in | Intestinal research Vol. 9; no. 2; pp. 112 - 116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English Korean |
Published |
대한장연구학회
01.09.201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100 2288-1956 |
Cover
Summary: | 목적: 대장 종양과 관상동맥폐색질환은 국내에서 모두 유병율이 높아 주된 사망의 원인이 된다. 남성, 흡연, 고지혈증, 당뇨, 그리고 비만과 같은 위험인자들을 공유하고 있지만, 관상동맥폐색질환에 따른 대장종양의 유병률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따라서, 저자들은 이 연구에서 대장 종양과 관상동맥폐색질환 간의 임상적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대장내시경검사 전후에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176명(남자: 101명, 평균나이: 62.1±9.7세)의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관상동맥 폐색질환(정상, 경도의 관상동맥폐색질환, 또는 관상동맥폐색질환)의 중등도에 따른 대장내시경 검사소견(정상, 선종, 또는 암)과 임상 및 혈액학 검사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정상, 경도의 관상동맥 폐색질환, 그리고 관상동맥폐색질환 환자는 각각 36명, 40명, 그리고 100명이었다. 정상 관상동맥, 경도의 관상동맥 폐색질환 환자, 그리고 관상동맥폐색질환 환자에서 대장 종양(선종과 대장암)의 유병률은 각각 42%, 48%, 63%이어 각 군별로 통계학적으로 차이를 보였다(P<0.05). 다변량 분석에서 고령(≥60세; P=0.03, Odds ratio 2.47)과 관상동맥 폐색질환의 존재(P=0.02, Odds ratio 4.11)는 대장 신생물의 위험인자였다. 결론: 관상동맥폐색질환의 경중도에 비례하여 대장 종양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관상동맥 폐색질환을 가진 환자 특히, 고령의 환자에서는 대장암의 선별을 위한 대변 잠혈검사나 대장내시경검사가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Background/Aims: Both colorectal neoplasm (CN) and coronary artery obstructive disease (CAOD) are prevalent and major leading causes of death in Korea. Although CN and CAOD share similar risk factors such as male gender,smoking, hyperlipidemia, diabetes mellitus, and obesity, few studies of both CN and CAOD have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evaluated clinical correlations between CN and CAOD. Methods: Between June 2003 and December 2007, 176 patients (Male: 101, average age: 62.1±9.7 yr) who underwent colonoscopy after or before coronary angiography were retrospectively enrolled. The colonoscopic findings (normal, adenoma, or cancer) of patients as well as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according to the extent of CAOD (normal, minimal CAOD, or CAOD) were compared. Results: CAOD negative, minimal CAOD, and CAOD patients totaled 36, 40, and 100, respectively. The presence of CN (adenoma and adenocarcinoma) in CAOD negative, minimal CAOD, and CAOD cases was 42%,48%, and 63%, respectively,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In multivariate analysis, old age (≥60yr; P=0.03, odds ratio 2.47) and the presence of CAOD (P=0.02, odds ratio 4.11) were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CN.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CN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severity of CAOD. Colorectal cancer screening by fecal occult blood tests or colonoscopy should be a priority in patients with CAOD, particularly the elderly. (Intest Res 2011;9:112-116) |
---|---|
Bibliography: |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Intestinal Disease G704-SER000010389.2011.9.2.001 |
ISSN: | 1598-9100 2288-19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