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구선수의 외상후성장 과정

본 연구는 배구선수가 경험한 외상사건을 기반으로 외상후성장 과정을 인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3-2014년 프로배구시즌에 참여한 여자배구선수 7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질문지를 사용하여 외상후성장 요인을 추출한 뒤, 추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인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도식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결과, 외상사건은 구성원과 갈등, 유능감 상실, 신체적 부상, 지도자와 갈등의 4개 영역으로 범주화되었고, 외상사건에 대한 정서경험은 무력감, 압박감, 상실감, 적개심의 4개 영역으로, 외상사건을 위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27; no. 3; pp. 666 - 676
Main Authors 김현주, Hyeon Ju Kim, 윤영길, Young Kil Y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과학원 30.09.2016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16.27.3.66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배구선수가 경험한 외상사건을 기반으로 외상후성장 과정을 인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3-2014년 프로배구시즌에 참여한 여자배구선수 7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질문지를 사용하여 외상후성장 요인을 추출한 뒤, 추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인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도식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결과, 외상사건은 구성원과 갈등, 유능감 상실, 신체적 부상, 지도자와 갈등의 4개 영역으로 범주화되었고, 외상사건에 대한 정서경험은 무력감, 압박감, 상실감, 적개심의 4개 영역으로, 외상사건을 위한 극복요인은 사회적 지지, 중재전략, 심리조절의 3개 영역으로, 긍정적 성장은 심리적 도약, 경기력 향상, 사회적 성숙, 정서적 안정의 4개 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그리고 범주화 결과는 외상후성장 과정의 질문흐름에 따라 인과 네트워크로 도식화하여 외상후성장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연구결과, 배구선수는 외상사건을 통해 개인적으로 심각한 심리적 상처를 경험하였으나 어려움을 극복하여 긍정적 성장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배구선수에게 성장경험은 긍정적인 일상을 향유할 수 있는 자원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선수에게 외상에 대한 인식을 환기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types of traumatic event experienced by Volleyball players and then prepare to take-off the serial process of posttraumatic growth to schematize a causal network by organizing the factors for overcoming adversity.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open-ended questionnaires to 77 professional Women`s volleyball players in 2013-2014 and collected data was categorized by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se results were schematized by the causal network. As a result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trauma were categorized into four general areas: member conflict, competence loss, physical injury, and coach conflict and the emotions relative to the trauma were categorized into four general areas: powerlessness, pressure, dejection, and hostility also coping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eneral areas: social support, interven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control. Finally, positive growth emerged as psychological leap, performance improvement, psychological maturity, and emotional stability. And as a result of the categorized study, bring about a better understanding to the posttraumatic growth by causal network.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at volleyball players experienced a positive development on themself after overcoming the problem that they had suffered psychological scars from a traumatic event. In doing so, the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resources that helped them in their positive live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ects to provide the players who have been scratched in mind because of the traumatic experience.
Bibliography:G704-000739.2016.27.3.004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16.27.3.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