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의 과거력이 없는 환자에서 항문직장 내압검사 후 발생한 직장 손상

항문직장 내압검사는 관련된 합병증에 대한 보고가 많지않아 비교적 안전한 검사로 여겨져 왔다. 저자들은 수술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에서 내압검사 중 일어난 직장 천공을 포함한 2예의 직장 손상을 경험하였으며, 2예 모두 수술 없이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었다. 항문직장 내압검사는 비교적 안전한 검사이나 직장감각능 평가시 가해지는 풍선의 팽창 압력에 의해 직장 점막 손상이나 천공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검사 시행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Colorectal injury related to anorectal manometry is very...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78; no. 6; pp. 732 - 736
Main Authors 정상수, Sang Su Jung, 명승재, Seung Jae Myung, 김이랑, Yi Rang Kim, 정훈용, Hwoon Yong Jung, 양석균, Suk Kyun Yang, 김진호, Jin H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내과학회 01.06.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9364
2289-076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항문직장 내압검사는 관련된 합병증에 대한 보고가 많지않아 비교적 안전한 검사로 여겨져 왔다. 저자들은 수술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에서 내압검사 중 일어난 직장 천공을 포함한 2예의 직장 손상을 경험하였으며, 2예 모두 수술 없이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었다. 항문직장 내압검사는 비교적 안전한 검사이나 직장감각능 평가시 가해지는 풍선의 팽창 압력에 의해 직장 점막 손상이나 천공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검사 시행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Colorectal injury related to anorectal manometry is very rare and is mostly associated with previous rectal surgery. We experienced two cases of colorectal injury related to anorectal manometry in patients without a history of surgery. The anorectal manometry finding of the first patient suggested rectal hyposensitivity, and the maximum tolerable volume was measured as 350 mL. After anorectal manometry, she complained of hematochezia. Sigmoidoscopy showed a deep 5 cm ulcer with vessel exposure at the rectum. She recovered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In the second case, rectal bleeding occurred while measuring the maximal tolerable rectal volume. A 2.5 cm mural defect and 4 cm mucosal defect were detected in the rectosigmoid area at sigmoidoscopy. Computed tomography showed intraperitoneal free air around the distal sigmoid colon. She improved after conservative management. We suggest that anorectal manometry be performed with great caution, even in patients without a history of surgery. (Korean J Med 78:732-736, 2010)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G704-000582.2010.78.6.005
ISSN:1738-9364
2289-0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