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봄샘 기능이상을 동반한 안구건조증 환자에서 온열마사지치료기기의 임상적 유용성

목적: 마이봄샘 기능이상 환자에서 온열마사지기 KCL 990(r)의 효과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마이봄샘 기능이상 환자 27명 54안을 대상으로 1개월간의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1일 2회 KCL 990(r) (한국KCL, 대한민국)을 이용한 온열마사지치료를 시행하였고, 치료전과 치료 1주, 1개월 후의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증상설문조사, 눈물삼투압검사, 눈물막 파괴시간 검사를 시행하였다.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OQA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4; no. 9; pp. 1321 - 1326
Main Authors 김대우, Dai Woo Kim, 권영아, Young A Kwon, 송상률, Sang Wroul Song, 김병엽, Byoung Yeop Kim, 정재림, Jae Lim Ch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9.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마이봄샘 기능이상 환자에서 온열마사지기 KCL 990(r)의 효과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마이봄샘 기능이상 환자 27명 54안을 대상으로 1개월간의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1일 2회 KCL 990(r) (한국KCL, 대한민국)을 이용한 온열마사지치료를 시행하였고, 치료전과 치료 1주, 1개월 후의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증상설문조사, 눈물삼투압검사, 눈물막 파괴시간 검사를 시행하였다.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OQAS)장비를 이용하여 치료전, 치료 1개월 후 객관적 눈물막 파괴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OSDI 증상 설문조사, 눈물삼투압, 눈물막 파괴시간 모두 치료 1주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치료 1개월 후까지 계속 유의하게 유지되었다(p<0.05). 객관적 눈물막 파괴시간도 치료 전에 비하여 치료 1개월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결론: 마이봄샘 기능이상을 동반한 안구건조증 환자에서 KCL 990(r)을 이용한 온열마사지치료는 안구건조 증상의 개선뿐 아니라 눈물막과 안구표면에 기능적 향상을 보이므로 편리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한안과학회지 2013;54(9):1321-1326>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KCL 990(R)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with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Methods: Patients (n = 54 eyes, 27 subjects) diagnosed with dry eye with MGD were recruited for a prospective, one-month clinical trial. Patients received a twice-a-day 15-minute treatment using the KCL 990(R). Effectiveness parameters included patient symptom scores using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questionnaires, tear osmolarity measured with TearLab(R) (TearLab Corporation, San Diego, CA, USA), classical tear break-up time (TBUT), and objective TBUT value using an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OQAS(R), Visiometrics, Castelldefels, Spain). Data are presented for pre-treatment (baseline) and at 1 week and 1 month post-treatment. An objective TBUT value was estimated in each eye when the optical scattering index (OSI) started to increase consistently, and data were obtained at pretreatment (baseline) and at 1 month post-treatment. Results: The symptom scores on OSDI questionnaires, tear osmolarity, and tear break-up time improved significantly from baseline to one week (p < 0.05). This improvement was maintained with no significant regression at 1 month (p < 0.05). The objective TBUT value decreased significantly at 1 month (p < 0.05). Conclusions: KCL 990(R) contributed to improve not only signs and symptoms of dry eye with MGD, but also the function of the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9):1321-1326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http://dx.doi.org/10.3341/jkos.2013.54.9.1321
G704-001025.2013.54.9.003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