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 아웃솔 변형에 따른 보행 형태의 변화
본 연구의 목적은 신발의 마모 현상 등으로 인한 신발 바닥의 변형이 보행 형태와 하지 관절 모멘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대 연구 대상자(남:10명, 여:8명)를 선정 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들에게 신발 뒷부분을 내·외측 방향으로 마모시킨 신발과 일반 신발을 신기고 약 40분 간 보행을 하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보행 동작을 분석하기 위하여 8대의 적외선 카메라로 구성된 실시간 동작분석 시스템과 2대의 지면반력기를 사용하여 신체 무게 중심의 변화, 지면 반력과 하지 관절 모멘트를...
Saved in: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27; no. 1; pp. 53 - 64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1.03.2016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6.27.1.53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신발의 마모 현상 등으로 인한 신발 바닥의 변형이 보행 형태와 하지 관절 모멘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대 연구 대상자(남:10명, 여:8명)를 선정 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들에게 신발 뒷부분을 내·외측 방향으로 마모시킨 신발과 일반 신발을 신기고 약 40분 간 보행을 하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보행 동작을 분석하기 위하여 8대의 적외선 카메라로 구성된 실시간 동작분석 시스템과 2대의 지면반력기를 사용하여 신체 무게 중심의 변화, 지면 반력과 하지 관절 모멘트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 무게중심, 지면 반력 등의 변화에서 다른 유형이 관찰되었으며, 또한 발목, 무릎 관절 모멘트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신발 바닥의 내·외측이 마모된 상태로 보행했을 때 일반 신발과 다르게 관절 모멘트에 관여하는 근육계의 피로와 불균형을 야기 할 수 있으며, 신발 바닥이 변형된 신발을 신고 장시간 보행 시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충분한 요인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oe``s soles abrasion positions on gait biomechanics and joint moment of the lower limbs. Participants between the age of 20 and 29 (Male: 10, Female: 8) were chosen as subjects. These subjects wore shoes for 40 minutes with soles that were previously worn down medially or laterally. Motion analysis system consisting of 8 infrared cameras and two force platforms were used to measure the following: center of mass(COM), ground reaction force(GRF) and lower limb’s joint mom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 and GRF were observed between lateral & medial worn shoes and non-worn shoes.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kle and knee movements were observed. The change in shoe soles is common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effects on gait patterns, joint forces, etc. This study reveals that shoes with worn down soles can negatively influence our gait pattern. We recommend that shoes be checked regularly for signs of wear and tear and changed accordingly. Furthermore, research focusing on the effects of differently shaped shoe sole abrasion is needed to recommend how they influence an abnormal gait. In addition,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of worn shoes on lower back pain needs to be conducted. |
---|---|
Bibliography: | G704-000739.2016.27.1.012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6.27.1.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