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지도사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서비스 만족도 측정 도구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스포츠 지도사 연수 프로그램 서비스 만족도에는 어떠한 요인들로 구성되는지 파악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춘 척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총 3차에 걸쳐 10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회수된 설문지는 총 897부였으며, 각 차수별로 241부, 318부, 271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척도 개발절차에 따라 Factor 8.1, SPSS 21.0, Mplus 6.0을 활용하여 표적 집단 면접법, 내용타당도 비율검사, 평행선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예측타당성 검정의 순으로 분석...
Saved in:
|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27; no. 2; pp. 281 - 292 |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0.06.2016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2920 2233-7938 |
| DOI | 10.24985/kjss.2016.27.2.281 |
Cover
| Summary: | 본 연구는 스포츠 지도사 연수 프로그램 서비스 만족도에는 어떠한 요인들로 구성되는지 파악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춘 척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총 3차에 걸쳐 10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회수된 설문지는 총 897부였으며, 각 차수별로 241부, 318부, 271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척도 개발절차에 따라 Factor 8.1, SPSS 21.0, Mplus 6.0을 활용하여 표적 집단 면접법, 내용타당도 비율검사, 평행선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예측타당성 검정의 순으로 분석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스포츠 지도사 연수프로그램의 서비스 만족도요인은 총 3개요인(행정지원, 교과내용, 교육환경)의 19개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더욱 활성화되고 국민적 관심을 가지게 될 스포츠 지도사 연수 프로그램의 질적 개선 및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학문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that measures participants. satisfaction in sports instructor training programs. The instrument development process includes focus group interviews, parallel analysis,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Data were collected from 897 participants from three regular training sessions and were analyzed primarily using SPSS and MPlus softwa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rvice satisfaction of sport instructor programs has an underlying three sub-factors, including .administrative support., .curriculum contents., and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can provide helpful information to managers in improving their respective sport instructor training programs. |
|---|---|
| Bibliography: | G704-000739.2016.27.2.010 |
| ISSN: | 1598-2920 2233-7938 |
| DOI: | 10.24985/kjss.2016.27.2.2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