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연구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들 요인들이 중·고등학생 청소년들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7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62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이 중학생과 고등학생들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중학생의 경우, 성별, 공격성, 연령, 가정폭력 경험, 교사와의 관계 순으로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Saved in:
Published in | 청소년복지연구 Vol. 12; no. 2; pp. 123 - 141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30.06.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4705 2466-2348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들 요인들이 중·고등학생 청소년들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7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62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이 중학생과 고등학생들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중학생의 경우, 성별, 공격성, 연령, 가정폭력 경험, 교사와의 관계 순으로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 중학생일수록, 공격성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가정폭력 경험이 많을수록, 교사와의 유대관계가 부정적일수록 문제행동에 많이 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성별, 공격성, 학업성취도, 가정폭력 경험 순으로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 고등학생일수록, 공격성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낮을수록, 가정폭력 경험이 많을수록 문제행동에 많이 가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중·고등학생 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제행동의 예방을 위한 적절한 교육과 개입 서비스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nd any possible gap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teens in those facto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25 adolescents in seven different middle and high school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gaps between the middle and high schoolers in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problem behavior, followed by aggressiveness, age, family violence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Problem behavior was more prevailing among the middle school teens who were boys, who were more aggressive, who were in the lower grades, who were exposed to more family violence and who had a wors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the case of the high schoolers, gender exerte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followed by aggressiveness, academic achievement and family violence. Problem behavior was more prevailing among the high schoolers who were boys, who were more aggressive, whose academic achievement was lower and who were exposed to more family violence. |
---|---|
Bibliography: | Korean Association of Adolescent Welfare G704-002137.2010.12.2.006 |
ISSN: | 1229-4705 2466-23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