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로 진단된 비알코올 지방간 환자에서 Cytokeratin-18과 대사 지표와의 상관관계

목적: 이번 연구에서는 비알코올 지방간 환자에서 CK-18과 대사지표 및 대량 영양 조성과의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개 병원의 소화기내과와 검진센터에 방문한 106명의 비알코올 지방간 환자와 106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신체 계측 및 기본 혈액 검사와 CK-18 검사를 시행하였고 각 군에서 대사지표, 대량 영양조성과 CK-18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비알코올 지방간 환자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해 CK-18 수치가 의미 있게 높았으며 CK-18은 수축기 혈압, AST, ALT 와 양의 상관관계를, 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64; no. 4; pp. 206 - 212
Main Authors 곽동신, Dong Shin Kwak, 전대원, Dae Won Jun, 조영균, Yong Kyun Cho, 이승민, Seung Min Lee, 이세환, Se Hwan Lee, 정인섭, In Sub Jung, 이성원, Sung Won Lee, 박재근, Jae Keun Park, 이정훈, Jung Hoon Lee, 이은영, Eun Young Lee, 노민, Min Rho, 이강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소화기학회 30.10.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992
2233-686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이번 연구에서는 비알코올 지방간 환자에서 CK-18과 대사지표 및 대량 영양 조성과의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개 병원의 소화기내과와 검진센터에 방문한 106명의 비알코올 지방간 환자와 106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신체 계측 및 기본 혈액 검사와 CK-18 검사를 시행하였고 각 군에서 대사지표, 대량 영양조성과 CK-18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비알코올 지방간 환자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해 CK-18 수치가 의미 있게 높았으며 CK-18은 수축기 혈압, AST, ALT 와 양의 상관관계를, 고밀도 콜레스테롤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또한 비알코올 지방간 환자를 대사증후군이 동반되어 있는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에 동반되어 있는 환자에서 CK-18이 더 상승되어 있었으며 CK-18을 400 U/L 이하 군과 초과 군으로 나누었을 때에 400 U/L 초과 군이 더 높은 체질량지수와 복부 피하지방, AST, ALT를 보여주었다. 또한 칼로리 섭취율이 높을수록, 탄수화물 섭취율이 높을수록 CK-18이 높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 CK-18은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초음파로 진단된 비알코올 지방간 환자에서 의미 있게 높았다. 또한 비알코올 지방간 환자에서 혈청 CK-18 농도가 400 U/L을 넘는 경우 복부비만, 대사증후군 및 간 염증 수치 상승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Background/Aims: The serum cytokeratin-18 (CK-18) has been suggested to be a surrogate marker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K-18 and metabolic parameter in NAFLD patients. Correlation between CK-18 and macronutrient composition was also assessed. Methods: A total of 212 subjects were recruited. Blood chemistry including fasting glucose, cholesterol level, AST, ALT, and CK-18 were compared. Data on calorie intake and carbohydrate consumption were acquired by five-day-diet diary using 24 hour recall method. Results: Plasma CK-18 were markedly increased in patient with NAFL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420.4±282.3 vs. 313.6±179, p<0.001). Plasma CK-18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r=0.130), ALT (r=0.503)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HDL cholesterol (r=-0.246). NAFLD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had higher CK-18 level than those without metabolic syndrome (484.0 vs. 372.1 U/L, p=0.021). When NAFLD patients we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with CK-18 cut-off value of 400 U/L, patients with CK-18 level over 400 U/L showed higher body mass index (28.0±4.5 vs. 25.5±4.3), subcutaneous abdominal fat (283.5±172.2 vs. 195.7±147.8), AST (52.7±26.3 vs. 40.7±23.5) and ALT (102.0±52.6 vs. 61.2±32.2). Calorie intake (r=0.301) and carbohydrate intake (r=0.305) also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CK-18. Conclusions: Plasma CK-18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metabolic parameters as well as calorie and carbohydrate intake when its cut-off value of greater than 400 U/L was used. (Korean J Gastroenterol 2014;64:206-212)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G704-000307.2014.64.4.005
ISSN:1598-9992
2233-6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