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성인에서 MDR1의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심바스타틴의 대사의 차이

목적: 심바스타틴은 고지혈증을 갖는 환자에서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MDR1은 170 kDa의 P-glycoprotein을 발현시키는 유전자로 여러 약물들의 흡수, 분포, 배설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MDR1의 유전자 다형성이 심바스타틴의 약물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31명의 20대 건강한 남자를 대상으로 전혈을 채취하여 DNA를 분리하고, PCR과 RFLP를 이용하여 MDR1의 엑손 12번의 C1236T, 엑손 21...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77; no. 2; pp. 211 - 217
Main Authors 성지현, Ji Hyun Sung, 한선숙, Seon Sook Han, 이미은, Mi Eun Lee, 하권수, Kwon Soo Ha, 김우진, Woo Ji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내과학회 01.08.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9364
2289-076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심바스타틴은 고지혈증을 갖는 환자에서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MDR1은 170 kDa의 P-glycoprotein을 발현시키는 유전자로 여러 약물들의 흡수, 분포, 배설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MDR1의 유전자 다형성이 심바스타틴의 약물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31명의 20대 건강한 남자를 대상으로 전혈을 채취하여 DNA를 분리하고, PCR과 RFLP를 이용하여 MDR1의 엑손 12번의 C1236T, 엑손 21번의 2677A/T, 엑손 26번의 C3435T에 대해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모든 자원자는 검사 당일 simvastatin 60 mg을 복용하고, 12시간에 걸쳐 채혈을 시행한 후, 약동학적인 파라미터(AUC0-12h, Cmax, Tmax, T1/2)를 측정하였다. 결과: C1236T는 Tmax 항목에서 CT, CC와 비교하여 TT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고(p=0.02), C3435T는 AUC0-12h가 TT에서 CC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1). C1236T와 C3435T의 다른 약동학 적인 파라미터에서는 SNP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G2677A/T 또한 SNP에 따른 파라미터들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MDR1의 유전자 다형성이 심바스타틴의 효과에 있어 개인 간의 차이를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Aims: Simvastatin has dramatically reduced cardiovascular disease due to elevated cholesterol. The human multidrug resistance 1 gene (MDR1) encodes a 170-kDa transmembrane glycoprotein (P-glycoprotein),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the absorption, distribution, and excretion of simvastatin. To clarify the effects of the MDR1 gene polymorphism on simvastatin pharmacokinetics,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genotype and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for simvastatin. Methods: Thirty-one healthy unrelated Korean volunteers were genotyped for MDR1. Genomic DNA from blood was analyzed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Following an overnight fast, all of the subjects took a single 60-mg oral dose of simvastatin. Venous blood samples were taken for 12 hours after the oral drug intake.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DR1 genotype and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simvastatin was performed. Results: The mean Tmax of the 1236TT g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T and CC (p=0.02). The mean AUC0-12h of 3435TT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CT and CC (p=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MDR1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for G2677A/T and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lymorphic MDR1 genes are important in the inter-individual variation of the disposition of simvastatin in humans. (Korean J 77:211-217, 2009)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G704-000582.2009.77.2.001
ISSN:1738-9364
2289-0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