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하루 1회 인슐린 글라진과 글리메피리드 병용 효과 연구
연구배경: 인슐린 유사체인 글라진은 일중 혈중농도가 일정하고 24시간 효과가 지속되어 1일 1회 주사로 생리적 인슐린 곡선에 가깝게 기저 인슐린을 보충할 수 있으므로 제2형 당뇨병환자의 조기 인슐린 치료에 적합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경구 혈당강하제나 인슐린으로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1일 1회 인슐린 글라진과 1일 1회 글리메피리드 병합요법으로 치료방법을 전환하였을 때 혈당조절 효과와 환자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한국인의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인슐린 글라진과 글리메피리드의 병용 효과를 연구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Saved in:
Published in |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Vol. 31; no. 5; pp. 391 - 401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당뇨병학회
30.09.200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3-6079 2233-6087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인슐린 유사체인 글라진은 일중 혈중농도가 일정하고 24시간 효과가 지속되어 1일 1회 주사로 생리적 인슐린 곡선에 가깝게 기저 인슐린을 보충할 수 있으므로 제2형 당뇨병환자의 조기 인슐린 치료에 적합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경구 혈당강하제나 인슐린으로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1일 1회 인슐린 글라진과 1일 1회 글리메피리드 병합요법으로 치료방법을 전환하였을 때 혈당조절 효과와 환자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한국인의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인슐린 글라진과 글리메피리드의 병용 효과를 연구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기존에 경구혈당강하제를 투여한 54명(28.1%)와 전통적인 인슐린 치료를 받은 138명(71.9%)를 포함한 19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6개월여간 추적 관찰하였다. 일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글라진 투여 전후 당화혈색소 변화로 선행 치료방법, 당화혈색소 및 c-peptide의 기저치, 당뇨병 유병기간, 체질량지수, 선행 인슐린 용량 등에 따라 세부 분석하였다. 이차 평가변수는 선행 인슐린 대비 글라진의 용량 전환비였고 인슐린 글라진 사용 후 환자의 글라진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를 설문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의 평균 연령, 체질량지수, 당뇨병 유병기간, 당화혈색소 및 c-peptide는 각각 61.1 ± 10.3세, 25.0 ± 3.2 kg/m2, 14.1 ± 7.1년, 8.9 ± 1.6%, 1.6 ± 0.9 ng/mL였고, 선행 인슐린 용량은 30.9 ± 12.1 IU였다. 본 연구결과, 글라진 투여 후 당화혈색소는 기존에 경구 혈당강하제를 사용했던 군에서 -0.78 ± 1.76 %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기존에 인슐린 치료를 했던 군에서는 0.07 ± 1.44%로 투여 전과 유사한 혈당 강하효과를 보였다. 글라진 투여 전 HbA1c 기저치가 9% 이상인 군에서 글라진 투여 후 HbA1c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c-peptide 기저치 0.6 ng/mL 이상, 당뇨병 유병기간 15년 이하, 체질량지수 30 kg/m2 미만, 선행 인슐린 용량 30 IU 미만인 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당뇨병 유병기간 16년 이상, 체질량지수 30 kg/m2 이상, 선행 인슐린 용량 40단위 이상인 군에서는 글라진 투여효과가 감소하였다. 선행인슐린 대비 글라진의 용량 전환비(Lantus / prior insulin dose ratio)는 0.78 ± 0.30이었고 선행 인슐린 용량 40 IU 이상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글라진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 혈당조절에 대한 만족도 및 옵티셋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설문에서는 모두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나 혈당조절정도와는 상관이 없었다. 결론: 인슐린 글라진을 글리메피리드와 병합하여 1일 1회 투여하는 방법은, 기존에 경구 혈당강하제를 사용하던 환자에서 인슐린을 시작할 때나 1~2회의 전통적인 인슐린 치료에도 혈당 조절이 안 되는 환자에서 1일 1회 인슐린 요법으로 전환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Once daily injection and 24 hour lasting glucose lowering effect of insulin glargine had recently changed a perception about the early insulin treatment of type 2 diabetic pati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rapeutic efficacy of combined therapy with insulin glargine and glimepiride in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who had received oral hypoglycemic agents (OHA) or conventional insulin therapy. Methods: Total of 192 patients who needed to change the previous therapy because of uncontrolled diabetes or hypoglycemia were included and followed for about 6 months. Two groups of prior treatment modality were analyzed; OHA group (n = 54, 28.1%), conventional insulin therapy group in combination with or without OHA group (n = 138, 71.9%). The primary end point was changes in HbA1c according to baseline characteristics such as prior treatment modality, HbA1C, c-peptide,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body mass index and prior used conventional insulin doses. Secondary end point was the dose conversion ratio of insulin glargine to prior used insulin in patients who had one or two insulin therapy. We also evaluated the level of the patients` satisfaction on the glucose lowering effects and the convenience for use of device. Results: The differences of HbA1c according to prior treatment groups were -0.78 ± 1.76 % in OHA group and 0.07 ± 1.44 % in conventional insulin group with or without OHA group. The HbA1c improved better when baseline HbA1c was higher than 9%, c-peptide was higher than 0.6 ng/mL, duration of diabetes was shorter than 15 years, BMI was lower than 30 kg/m2 and prior conventional insulin dose was less than 30 IU. However, those effects were attenuated in subjects having duration of diabetes longer than 16 years, BMI higher than 30 kg/m2 and prior insulin dose more than 40 IU. Dose conversion ratio of the insulin glargine to prior insulin was 0.78 ± 0.30 and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patients who have prior insulin dose more than 40 IU. The scores of the patients` subjective satisfaction on insulin glargine were all high, irrespective of the changes of HbA1c. Conclusions: Once daily injection of insulin glargine and oral ingestion of glimepiride can be recommended as one of starting insulin regimen for patients who are not adequately controlled by OHA alone or as once daily regimen for whom treated with one or two conventional insulin therapy. (J Kor Diabetes Assoc 31:391~401, 2007) |
---|---|
Bibliography: | Korean Diabetes Association G704-SER000002700.2007.31.5.001 |
ISSN: | 2233-6079 2233-60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