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 환자에서 적혈구생성자극제 사용과 헤모글로빈 변이성

목적: 혈액투석 환자에서 적혈구생성자극제 사용에 따른 헤모글로빈 변이성 (variability)이 알려져 있다. 현재 임상에서 사용중인 적혈구생성자극제의 약력학 및 약물동력학은 서로 다르므로, 그에 따라 헤모글로빈 변이성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방법: 2007년 1월부터 12월까지 적혈구생성자극제를 사용하는 유지혈액투석 환자로서 중 급성 병증이 없었던 72명 (darbepoetin alfa 27명, epoetin beta 27명, and epoetin alpha 18명)을 대상으로 헤모글로빈 변이성을 조사하였다. 변이성의 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 30; no. 1; pp. 41 - 47
Main Authors 박수경, Su Kyoung Park, 황규식, Kyu Sig Hwang, 박준성, Joon Sung Park, 이창화, Chang Hwa Lee, 강종명, Chong Myung Kang, 김근호, Gheun H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신장학회 30.01.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11-9132
2211-914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혈액투석 환자에서 적혈구생성자극제 사용에 따른 헤모글로빈 변이성 (variability)이 알려져 있다. 현재 임상에서 사용중인 적혈구생성자극제의 약력학 및 약물동력학은 서로 다르므로, 그에 따라 헤모글로빈 변이성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방법: 2007년 1월부터 12월까지 적혈구생성자극제를 사용하는 유지혈액투석 환자로서 중 급성 병증이 없었던 72명 (darbepoetin alfa 27명, epoetin beta 27명, and epoetin alpha 18명)을 대상으로 헤모글로빈 변이성을 조사하였다. 변이성의 지표로서 헤모글로빈 싸이클링, 헤모글로빈 변동 (variance) 및 헤모글로빈 표준편차/평균 비를 각각 구하여 비교하였다. 헤모글로빈 싸이클링은 진폭 >1.5 g/dL, 주기의 지속기간 ≥2개월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총 72명 중 53명 (73.6%)에서 헤모글로빈 사이클링이 관찰되었다. 헤모글로빈 사이클링의 빈도 (평균±표준편차)는 1.4±0.9 회/년이었고, 진폭 2.4±1.6 g/dL, 주기의 지속기간 4.1±3.1개월이었다. 적혈구생성자극제의 용량 변경 빈도는 3.7±1.4 회/년, 그 중 중단 횟수는 1.5±0.7 회/년이었다. 헤모글로빈 사이클링의 빈도는 darbepoetin alfa 군 (1.63±0.93 회/년)에서 epoetin beta 군 (1.00±0.88 회/년)에 비해 많았고 (p<0.05), 그 진폭이 컸으며 (2.88±1.48 vs. 1.88±1.60 g/dL, p<0.05), 그 속도도 빨랐다 (1.21±0.74 vs. 0.73± 0.66 g/dL/month, p<0.05). 헤모글로빈 변동은 epoetin beta 군 (0.79±0.53 g/dL)이 darbepoetin alfa 군 (1.29± 0.70 g/dL, p<0.05) 및 epoetin alfa 사용군 (1.08±0.52 g/dL, p<0.05)에 비해 작았다. 헤모글로빈 표준편차/평균 비 또한 epoetin beta 군 (8.20±2.59%)에 비해 darbepoetin alfa 군 (10.81±2.10%, p<0.05)과 epoetin alfa 군 (10.30±2.10%, p<0.05)에서 컸다. 결론: 혈액투석 환자에서 헤모글로빈 변이성은 현저하며, 사용하는 적혈구생성자극제에 따라 그 변이성에 차이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whether differences exist in the hemoglobin variabil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erythropoiesis stimulating agent (ESA) in hemodialysis (HD) patients. Methods: Clinical data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from 72 patients on maintenance hemodialysis who were using darbepoetin alfa (n=27), epoetin beta (n=27), and epoetin alpha (n=18). As parameters of hemoglobin variability, hemoglobin cycling, the variance of hemoglobin and the SD/mean of hemoglobin were analyzed. Hemoglobin cycling was defined as the presence of cycles with an amplitude >1.5 g/dL and lasting more than 2 months. Results: Hemoglobin cycling was present in 53 (73.6%) out of 72 HD patients. Hemoglobin cycling in patients receiving darbepoetin alfa had greater frequency (1.63±0.93 vs. 1.00±0.88 times/year, p<0.05), amplitude (2.88±1.48 vs. 1.88±1.60 g/dL, p<0.05), and velocity (1.21±0.74 vs. 0.73±0.66 g/dL/month, p<0.05) than that in patients receiving epoetin beta. The variance of hemoglobin in patients receiving epoetin beta (0.79±0.53 g/dL) was smaller than that in patients receiving darbepoetin alfa (1.29±0.70 g/dL, p<0.05) and epoetin alfa (1.08±0.52 g/dL, p<0.05). Also, the ratio of SD/mean of hemoglobin in patients receiving epoetin beta (8.20±2.59%) was lower than that in patients receiving darbepoetin alfa (10.81±2.10%, p<0.05) and epoetin alfa (10.30±2.10%, p<0.05). Conclusion: Hemoglobin variability is differential according to various ESAs, and it may be less with epoetin beta compared with darbepoetin alpha and epoetin alpha.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G704-000889.2011.30.1.015
ISSN:2211-9132
2211-9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