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관 간질성 종양 임상, 병리학 고찰과 새로운 진단 체계의 유용성

목적: GIST의 발생에 kit 유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진단 및 치료 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다. 그러나 아직 GIST의 명확하고 재현성 있는 병리학 분류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저자들은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GIST를 진단하고 이들의 임상, 병리학 소견을 알아보았다. 또한 GIST 증례들을 Amin과 NIH의 진단기준을 적용하여 재진단하고 두 가지 분류에 따른 진단과 종양의 예후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위장관 간엽종양으로 진단된 50예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43; no. 6; pp. 341 - 348
Main Authors 김민기, Min Ki Kim, 이재경, Jae Kyung Lee, 박은택, Eun Taek Park, 이상혁, Sang Hyuk Lee, 설상영, Sang Young Seol, 정정명, Jung Myung Chung, 강미선, Mi Seon Kang, 윤혜경, Hye Kyoung 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소화기학회 15.06.200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992
2233-686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GIST의 발생에 kit 유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진단 및 치료 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다. 그러나 아직 GIST의 명확하고 재현성 있는 병리학 분류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저자들은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GIST를 진단하고 이들의 임상, 병리학 소견을 알아보았다. 또한 GIST 증례들을 Amin과 NIH의 진단기준을 적용하여 재진단하고 두 가지 분류에 따른 진단과 종양의 예후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위장관 간엽종양으로 진단된 50예에 대하여 CD117, CD34, smooth muscle actin, s-100 단백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GIST로 분류된 증례들의 나이와 성별, 발생 부위, 면역 표현형, 종양의 크기, 종양세포의 유사분열 수, 전이, 재발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Amin과 NIH의 병리학 분류법에 따라 재진단하여 종양의 예후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GIST의 발생부위는 위 12예, 소장 12예, 직장 4예, 대장과 장간막 각각 1예였다. 위에서는 미분화형이 가장 많았으며, 소장에서는 신경형이 가장 많았다. 직장, 대장, 장간막에서 발생한 예들은 모두 미분화형이었다. Amin 분류에서 양성 5예, 경계성 8예, 악성 17예였으며, NIH 분류에서 초저위험군 2예, 저위험군 6예, 중등도 위험군 7예, 고위험군 15예였다 전이 또는 재발한 경우가 8예였으며 Amin의 분류에서 악성 종양으로 진단된 경우에 전이 또는 재발한 경우는 17예 중 6예(35.3%) (p=0.4069), NIH 분류에서 고위험군에 속하는 종양에서 재발 또는 전이를 보인 경우는 15예 중 7예(46.7%) (p=0.0352)로 NIH 분류에 의한 진단이 종양의 예후와 일치되는 확률이 더 높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 사용하던 Amin 분류법과 새로이 제안된 NIH 분류법에 따라 GIST를 진단하고 이들의 결과를 환자의 임상 경과와 비교해 보았으며 NIH 분류법에 따라 고위험군으로 진단된 종양이 Amin 분류법에 따라 악성 종양으로 진단된 경우에 비해 전이 또는 재발한 예가 의미 있게 많았다. 이로써 종양의 크기를 좀더 중요한 인자로 고려한 NIH 분류법이 종양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더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The effective and reproducible diagnostic parameters for differentiating benign from malignan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GISTs) are still not clear. In this study, GISTs were diagnosed and classifi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their clinical and pathologic features were investigated. GISTs were re-evaluated by Amin`s and NIH`s criteria, and prognostic relevance of these two criteria were compared. Methods: Fifty cases of gastrointestinal mesenchymal tumor diagnosed from May 1990 to February 2000,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CD117, CD34, smooth muscle actin, and S-100 protein. GISTs were diagnosed according to Amin`s and NIH`s criteri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gnosis and diagnosis based on Amin`s or NIH`s classification were analyzed. Results: Thirty cases of gastrointestinal mesenchymal tumors were diagnosed as GISTs. The stomach (40%) and small bowel (40%) were the most common origin for GISTs. Immunophenotypically, null, myoid, neural, combined type were 70.0%, 10.0%, 16.7% and 3.3%, respectively. Seven cases showed metastasis and one case showed recurrence. According to Amin`s criteria, 5 benign, 8 borderline and 17 malignant tumors were diagnosed. The NIH`s criteria showed 2 very low risk, 6 low risk, 7 intermediate risk, and 15 high risk tumors. Metastasis or recurrence of GISTs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malignancy according to Amin`s criteria (p=0.4069) but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igh risk tumor based on NIH`s criteria. (p=0.0352). Conclusions: GISTs showing local invasion, distant metastasis or recurrence were related with high risk tumors based on NIH`s criteria. NIH`s criteria might be better reliable scheme than Amin`s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GISTs. (Korean J Gastroenterol 2004; 43:341-348)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G704-000307.2004.43.6.006
ISSN:1598-9992
2233-6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