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 학생 운동선수 체력 평가기준 개발
본 연구는 지방에 거주하는 중·고 학생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고자 추진했던.학생선수 통합지원센터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체력측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우리나라 중·고 학생선수들의 성별.학교수준별 .학년별 체력 수준을 파악하고, 평가기준을 설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011 ~ 2014년 사이에 전국 5개 지역(부산, 광주, 대전, 경기, 전북)에서 중·고 학생운동선수 연인원 4,243명을 대상으로 체격 및 체력을 측정한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고, 각 항목의 평균, 표준편차 및 Cajori 5단계 평가기준을 제시하...
Saved in: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26; no. 4; pp. 982 - 995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1.12.2015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5.26.4.982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지방에 거주하는 중·고 학생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고자 추진했던.학생선수 통합지원센터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체력측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우리나라 중·고 학생선수들의 성별.학교수준별 .학년별 체력 수준을 파악하고, 평가기준을 설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011 ~ 2014년 사이에 전국 5개 지역(부산, 광주, 대전, 경기, 전북)에서 중·고 학생운동선수 연인원 4,243명을 대상으로 체격 및 체력을 측정한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고, 각 항목의 평균, 표준편차 및 Cajori 5단계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al performance and develop the criteria of 424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ross 5 provinces (Busan, Gwangju, Daejeon, Gyeongi and Jeonbuk) in Korea that took part in the talent development project. The data was collected between 2011 and 2014. The criteria was divided by gender and age across different grades, and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5 evaluation level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
---|---|
Bibliography: | G704-000739.2015.26.4.014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5.26.4.9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