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 식도염으로 진단된 건강 검진자의 임상상
목적: 증상이 없는 역류성 식도염의 임상상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연자들은 건강검진에서 내시경으로 진단된 미란성 식도염의 임상상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8월부터 2005년 5월까지 건강 검진자 중 LA 분류 A이상의 역류성 식도염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미란성 식도염의 임상특징과 위험인자를 조사하기 위해 미란성 식도염이 없는 건강 대조군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미란성 식도염군 264명(남 201, 여 63, 평균나이 42.1±9.5), 정상 대조군 245명(남 146, 여...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Vol. 12; no. 1; pp. 12 - 18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30.06.2006
대한소화기 기능성질환∙운동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3-0879 2093-0887 |
Cover
Summary: | 목적: 증상이 없는 역류성 식도염의 임상상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연자들은 건강검진에서 내시경으로 진단된 미란성 식도염의 임상상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8월부터 2005년 5월까지 건강 검진자 중 LA 분류 A이상의 역류성 식도염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미란성 식도염의 임상특징과 위험인자를 조사하기 위해 미란성 식도염이 없는 건강 대조군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미란성 식도염군 264명(남 201, 여 63, 평균나이 42.1±9.5), 정상 대조군 245명(남 146, 여 99, 평균나이 41.9±8.8이었다. 미란성 식도염을 가진 모든 수진자는 LA분류 A (85%), B (15%) 이었다. 미란성 식도염 군에서 주 1회 이상의 가슴쓰림은 10.6% (95% 신뢰구간 6.8-14.4), 주 1회 이상의 위산역류는 13.3% (95% 신뢰구간 9.1-17.4) 이었다. 미란성 식도염 군에서 가슴쓰림의 빈도는 건강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미란성 식도염 군의 80%에서는 1주일에 1번 이상의 전형적인 증상이 없었다. 다변량 분석으로 흡연력(하루에 담배 피우는 양)(교차비, 2.8; 95% 신뢰구간 1.7-4.4), 과 비만도(교차비, 1.2; 95% 신뢰구간, 1.1-1.3)가 미란성 식도염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역류성 식도염 군에서 정신신체 증상 점수는 증상이 있는 경우가 무증상인 경우보다 높았다. 결론: 미란성 식도염으로 진단된 건강 검진자의 20%만 뚜렷한 역류증상을 가지고 있었다. 증상이 있는 미란성 식도염을 가진 검진자가 높은 정신 신체 증상 점수를 가진다. 담배, 높은 체질량 지수가 미란성 식도염을 일으키는 위험 인자이다.
Background/Aims: As little is known about asymptomatic patients with erosive reflux esophagiti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ith erosive reflux esophagitis who were diagnosed by endoscopy in a routine health check-up program. Methods: We prospectively recruited the subjects who had erosive reflux esophagitis (≥LA grade A) among those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for routine check-up. We performed a case-control study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reflux esophagitis. Results: The enrolled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264 subjects with erosive reflux esophagitis and 245 healthy controls. All subjects with erosive esophagitis had LA grade A (85%) or B (15%). Eighty percent of all subjects (N=264) with erosive esophagitis did not have frequent reflux symptoms.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rosive reflux esophagitis was associated with smoking (odds ratio (OR), 2.8; 95% confidence interval (CI), 1.7-4.4), and BMI (OR, 1.2; 95% CI, 1.1-1.3). Subjects with symptomatic erosive esophagitis had higher psychosomatic symptom scores than asymptomatic subjects did. Conclusions: Only 20% of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erosive esophagitis at their routine check-up had frequent reflux symptoms. Symptomatic erosive esophagitis wa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factor.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12-18) |
---|---|
Bibliography: |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G704-SER000001642.2006.12.1.005 |
ISSN: | 2093-0879 2093-08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