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시머레이저 굴절이상 교정술을 이용한 근시의 치료결과 :1년 및 2년 추적관찰

엑시머 레이저 굴절이상 교정술을 시행받고 1년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86명 147안과 2년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6명 48안을 대상으로 수술전 현성 수면렌즈대응치에 따라 1군은 -1.50D에서 -6.00D까지,2군은 -6.01D에서 -10.00D까지로 분류하여 교정효과를 분석하였다. 1년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86명의 연령분포는 18~53세(평균 27세)로,남자는 39명 72안,여자는 47명 75안이었고,2년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6명의 연령분포는 19~53세(평균 30세)로, 남자는 10명 20안,여자는 16명 28안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38; no. 4; pp. 567 - 573
Main Authors 안윤구, Yoon Koo Ahn, 신정철, Jung Chul Shin, 최준규, Joon Kiu Cho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4.199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엑시머 레이저 굴절이상 교정술을 시행받고 1년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86명 147안과 2년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6명 48안을 대상으로 수술전 현성 수면렌즈대응치에 따라 1군은 -1.50D에서 -6.00D까지,2군은 -6.01D에서 -10.00D까지로 분류하여 교정효과를 분석하였다. 1년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86명의 연령분포는 18~53세(평균 27세)로,남자는 39명 72안,여자는 47명 75안이었고,2년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6명의 연령분포는 19~53세(평균 30세)로, 남자는 10명 20안,여자는 16명 28안이었다.수술전 현성 굴절검사에서 평균 구면렌즈대응치는 1군은 -4.61+-1.00D,2군은 -7.50+-0.78D였으나,수술후 1년에 1군에서는 -0.4.+-0.74D, 2군에서는 -0.92+-1.14로 나타나 1군에서 4.21D(91.30%),2군에서 6.58D(89.28%)의 근시 교정효과를 나타냈으며,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paired t-test).한편 1군,2군에서 수술후 1년 +-1D이내의 현성 구면렌즈대응치는 각각 90.91%,64.29%의 분포를 보였고,나안시력의 경우 0.5이상은 94.81%,84.29%로 각각 분포하였다.수술후 2년에 1군에서는 술전 -4.28+-0.89D에서 술후 -0.41+-0.63D로,2군에서는 술전 -7.75+-1.13D에서 -1.04+-1.08D로 1군 및 2군에서 각각 3.87D(90.42%),6.71D(86.60%)의 근시 교정효과를 나타냈으며,1군과 2군에서 +-1D이내 현성 구면렌즈대응치는 각각 81.82%,50.00%였고,나안시력의 경루 0.5이상은 각각 95.50%,84.62%의 분포를 보였다(한안지 38:567~573, 1997). To examine prospectively the efficacy and reliability of excimer las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for myopia. we treated 147 eyes of 86 patients with a VisX Twenty/Twenty excimer laser and followed them up for 1 year and follow up 48 eyes of 26 patients for 2 year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preoperative myopia: group 1 with diopters between -1.50 and -6.00, group 2 with diopters between -6.01 and -10.00. At 1 year, the group 1 with a mean preoperative refractive error of -4.61D changed to -0.40D, the group 2 changed from -7.50D to -0.92D. At 2 years, the group 1 with a mean preoperative refractive error of -4.28D changed to -0.41D, the group 2 changed from -7.75D to -1.04D. At 1 yera, in group 1, 90.91% (70 of 77) of eyes and in group 2,64.29%(45 of 70) of eyes were corrected within 1D of intended refraction,respectively. At 1 years, in group 1, 94.81% (73 of 77) of eyes and in group 2,84.29%(59 of 70) of eyes achieved an uncorrected visual acuity of 0.5 or better. And at 2 years, in group 1, 81.82% (18 of 22)of eyes, and in group 2, 50.00% (13 of 26) of eyes were corrected within 1D of intended refraction, respectively.At 2 years, in group 1, 95.50% (21% of 22) of eyes and in group 2, 84.62%(22 of 26) of eyes achieved an uncorrected visual acuity of 0.5 or better ( J Korean Ophthalmol Soc 38:567~573, 1997).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