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용량 악성코드의 특징 추출 가속화를 위한 분산 처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기존 악성코드 탐지는 다형성 또는 난독화 기법이 적용된 변종 악성코드 탐지에 취약하다.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악성코드에 내재된 패턴을 학습시켜 유사 행위 탐지가 가능해 기존 탐지 방법을 대체할 수 있다.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악성코드 패턴을 학습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해야한다. 그러나 대용량 악성코드 파일의 저장 및 처리 과정은 높은 공간과 시간 복잡도가 수반된다. 이 논문에서는 공간 복잡도를 완화하고 처리 시간을 가속화하기 위해 HDFS 기반 분산 처리 시스템을 설계한다. 분산 처리 시스템을 이용해 2-gram 특징과...
Saved in:
Published in |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Vol. 8; no. 2; pp. 35 - 40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정보처리학회
28.02.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7-5891 |
Cover
Summary: | 기존 악성코드 탐지는 다형성 또는 난독화 기법이 적용된 변종 악성코드 탐지에 취약하다.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악성코드에 내재된 패턴을 학습시켜 유사 행위 탐지가 가능해 기존 탐지 방법을 대체할 수 있다.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악성코드 패턴을 학습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해야한다. 그러나 대용량 악성코드 파일의 저장 및 처리 과정은 높은 공간과 시간 복잡도가 수반된다. 이 논문에서는 공간 복잡도를 완화하고 처리 시간을 가속화하기 위해 HDFS 기반 분산 처리 시스템을 설계한다. 분산 처리 시스템을 이용해 2-gram 특징과 필터링 기준에 따른 API 특징 2개, APICFG 특징을 추출하고 앙상블 학습 모델의 일반화 성능을 비교했다. 실험 결과로 특징 추출의 시간 복잡도는 컴퓨터 한 대의 처리 시간과 비교했을 때 약 3.75배 속도가 개선되었으며, 공간 복잡도는 약 5배의 효율성을 보였다. 특징 별 분류 성능을 비교했을 때 2-gram 특징이 가장 우수했으나 훈련 데이터 차원이 높아 학습 시간이 오래 소요되었다.
Traditional Malware Detection is susceptible for detecting malware which is modified by polymorphism or obfuscation technology. By learning patterns that are embedded in malware cod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can detect similar behaviors and replace the current detection methods. Data must collected continuously in order to learn malicious code patterns that change over time. However, the process of storing and processing a large amount of malware files is accompanied by high space and time complexity. In this paper, an HDFS-based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is designed to reduce space complexity and accelerate feature extraction time. Using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we extract two API features based on filtering basis, 2-gram feature and APICFG feature and the generalization performance of ensemble learning models is compared. In experiments, the time complexity of the feature extraction was improved about 3.75 times faster than the processing time of a single computer, and the space complexity was about 5 times more efficient. The 2-gram feature was the best when comparing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by feature, but the learning time was long due to high dimensionality. |
---|---|
Bibliography: |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KISTI1.1003/JNL.JAKO201912761598939 |
ISSN: | 2287-58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