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블랙스완>에 나타난 과정 중의 주체와 모성의 예술적 승화
이 연구의 목적은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의 영화 <블랙스완>(2010)에 나타난 과정 중의 주체와 모성의 예술적 승화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방법으로 멜라니 클라인의 대상관계이론과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모성이론과 과정 중의 주체, 예술론 등을 다루었다. 순수하고 가녀린 니나는 백조와 흑조라는 1인 2역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압박감으로 자아가 분열되며 서서히 괴물이 되어간다. 양가적인 모성성이 공존하는 자애와 공포의 상징으로서의 에리카는 모녀관계의 어두운 측면을 드러낸다. 어머니는 자신이 이루지 못한 욕망이...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3; no. 5; pp. 453 - 46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10.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3.5.32 |
Cover
Summary: | 이 연구의 목적은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의 영화 <블랙스완>(2010)에 나타난 과정 중의 주체와 모성의 예술적 승화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방법으로 멜라니 클라인의 대상관계이론과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모성이론과 과정 중의 주체, 예술론 등을 다루었다. 순수하고 가녀린 니나는 백조와 흑조라는 1인 2역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압박감으로 자아가 분열되며 서서히 괴물이 되어간다. 양가적인 모성성이 공존하는 자애와 공포의 상징으로서의 에리카는 모녀관계의 어두운 측면을 드러낸다. 어머니는 자신이 이루지 못한 욕망이 투영된 자신이 만든 세계에 니나를 가두어 두며 니나의 주체형성을 지연시킨다. 크리스테바는 어머니의 몸은 주체가 상징계에 진입한 이후에도 절대 온전히 사라지지 않고 주체의 무의식에 계속해서 출몰하여 위협한다고 강조한다. 니나는 어머니와의 분리하기 위해 끊임없이 분열되고 방황하며 미지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과정 중의 주체이다. 니나는 환상 속에서 릴리를 죽인 후 강력한 자아를 지닌 새로운 인격으로 변화되어 무대에서 완벽하게 흑조를 연기한다. 흑조는 어머니의 억압에서 벗어나 확립하려는 니나의 또 다른 자아이다. 원래 니나는 백조와 흑조의 정체성을 모두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니나는 고통스러운 과정을 통해 어머니를 비워낸다. 이 슬픔의 텅 빈 공간에서 춤을 통해 낯설고 새로운 아름다움을 창조하며 예술적 승화를 이룬다. 니나는 상징계에 균열을 가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창조하는 독립적인 주체로 다시 태어난다. 본 연구를 통해 선함 이면에 감추어진 모성의 양가성과 복합성을 심리적으로 고찰하고 억압적인 모성의 그늘에서 벗어나 절망과 상실감을 예술로 승화시키는 주체에 대해 숙고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ubject in process and artistic sublimation of the mother in Darren Aronofski’s < Black Swan >(2010). As a theoretical method for the study, Melanie Klein’s object relations theory, Julia Kristeva’s maternity theory, the subject in process, and art theory were applied. An innocent and fragile Nina has a split self by excessive anxiety and pressure about two role of one person of White Swan and Black Swan and is gradually becoming a monster. Erica who is the symbol of love and horror in the coexistence of ambivalent maternity reveals the dark aspect of a motherdaughter relationship. The mother confines Nina to mother’s world where mother projects her unfulfilled desires and delays Nina’s process for subjectivation. Kristeva emphasizes that the maternal body never disappears after subject enters the symbolic, continually hovering and threatening subject’s unconsciousness. Nina is a subject in process continuously splitting and wandering to separate her mother and making an unknown identity. After Nina stabs Lily to death in fantasy, she changes into a new personality with powerful self and performs perfectly Black Swans on stage. Black Swan is another self of Nina that gets out of her mother’s oppression and establishes. Originally, Nina has in herself the identity of White Swan and Black Swan. Nina vacates mother through a painful process. She achieves the artistic sublimation in this void space of sorrow and creates a strange new beauty by dancing. Nina reborn as an independent subject who causes crack in the symbolic and creates her own narrative. This study examined psychologically the ambivalence and complexity of maternity that is hidden behind the goodness. The research also explored the subject of sublimating the despair and sense of loss in art emerging from the oppressive maternity’s shadow.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3.5.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