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의 연령에 따른 색소 침착 변화 연구

얼굴의 피부 색소침착은 피부 노화의 시각적 특징 중 하나이므로, 화장품 및 미용 분야에서 피부 색소침착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몇몇 그룹들은 피부 색소침착에 대한 이미지 분석 방법을 연구하고 개발했으며, 일부 그룹들은 얼굴 피부 색소침착이 연령에 따라 변화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정의된 크기에 따른 색소침착수 및 크기의 변화를 보여주지 않았으며, 한국 여성의 색소침착에 관한 보고는 없었다. 이에 20 ~ 79 세 한국여성 194 명 (48.97 ± 17.11 세)의 안면 디지털 사진을 large high-pass filte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大韓化粧品學會誌 Vol. 49; no. 2; pp. 177 - 182
Main Authors 이명렬, Myeongryeol Lee, 정유철, Yuchul Jung, 서병휘, Byung-fhy Suh, 김은주, Eunjo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화장품학회 30.06.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587
2288-950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얼굴의 피부 색소침착은 피부 노화의 시각적 특징 중 하나이므로, 화장품 및 미용 분야에서 피부 색소침착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몇몇 그룹들은 피부 색소침착에 대한 이미지 분석 방법을 연구하고 개발했으며, 일부 그룹들은 얼굴 피부 색소침착이 연령에 따라 변화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정의된 크기에 따른 색소침착수 및 크기의 변화를 보여주지 않았으며, 한국 여성의 색소침착에 관한 보고는 없었다. 이에 20 ~ 79 세 한국여성 194 명 (48.97 ± 17.11 세)의 안면 디지털 사진을 large high-pass filter, median filter등을 이용하여 색소침착 수와 크기 그리고 강도를 분석하였다. 연령과 전체 색소 침착 수, 크기 및 강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pearson 상관계수 r = 0.688, r = 0.645, r = -0.563)가 있었으며, 세부 크기별 수와 강도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분산분석 결과에 따르면, 20 대와 70 대사이의 2 ~ 4 mm 2 와 > 20 mm 2 색소 침착 크기의 백분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노화와 함께 안면피부에 색소 침착이 늘어나며, 특히 한국 여성에서 큰 색소 침착의 증가가 두드러진 현상이다. Since facial skin pigmentation is one of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skin aging, it is important to evaluate skin pigmentation in the cosmetics and aesthetic fields. Several groups have investigated and developed the image analysis methods for skin pigmentation and some of the groups reported the age-related changes of the number and size of facial pigmented spots. However, they didn’t show the changes of the number and size of pigment spots by defined size, and there is no report for Korean female regarding pigmentation. A total of 194 Korean females aged 20 ~ 79 (48.97 ± 17.11 years) were analyzed for the number, size, and intensity of pigmented spots using various filters such as large high-pass filter and median filter in their digital facial imag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ge and total pigmented spot number (No.), size, and intensity (I)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 = 0.688, r = 0.645, r = -0.563),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also observed between the number and intensity of pigmented spots of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ANOVA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spot size of 2 ~ 4 mm 2 and > 20 mm 2 between 20’s and 70’s. In other words, with aging, pigmentation increases in the facial skin, and the large increase in pigmentation is particularly noticeable in Korean women.
Bibliography: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321351757425
ISSN:1226-2587
2288-9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