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시 결막 세균총 : 제왕절개와 질식분만의 비교

제왕절개나 질식분만으로 태어난 113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생후 30분 이내에, 어떠한 약도 점안되기 전, 결막세균배양을 하였다. 제왕절개로 태어난 신생아 43명중(제왕절개군) 10명(p1) 14안(p2)에서, 질식분만으로 태어난 신생아 70명중(질식분만군) 29명 41안에서 균이 검출되었으며, 이 차이들은 유의하였다(p1, p2<0.05). 제왕절개군에서 평균 균주수와 평균 세균집락수는 0.395±0.821(p3)과 5.116±27.095(p4)로 질식분만군에서 0.971±1.393과 25.843±62.285보다 각각 유의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37; no. 7; pp. 1132 - 1138
Main Authors 정두석, Doo Suck Chung, 문애리, Ae Ry Moon, 장승익, Seung Ik Chang, 문남주, Nam Ju M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7.199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제왕절개나 질식분만으로 태어난 113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생후 30분 이내에, 어떠한 약도 점안되기 전, 결막세균배양을 하였다. 제왕절개로 태어난 신생아 43명중(제왕절개군) 10명(p1) 14안(p2)에서, 질식분만으로 태어난 신생아 70명중(질식분만군) 29명 41안에서 균이 검출되었으며, 이 차이들은 유의하였다(p1, p2<0.05). 제왕절개군에서 평균 균주수와 평균 세균집락수는 0.395±0.821(p3)과 5.116±27.095(p4)로 질식분만군에서 0.971±1.393과 25.843±62.285보다 각각 유의하게 적었다(p3, p4<0.05). 제왕절개군에서는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구균이, 질식분만군에서는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구균, 그람 양성 간균, 대장균(E. coli), 비발효성 간균, 황색포도상구균이 주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제왕절개로 태어난 신생아의 결막은 질식분만으로 태어난 신생아의 결막에 비하여 세균에 의한 오염이 적었고 신생아안염 예방의 필요성이 적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한안지 37:1132∼1138, 1996). Conjunctival bacterial cultures for 113 neonates who were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or vaginal delivery were performed within 30 minutes after birth. These neonates were in the condition of ne eye drops applied. The 43 newborns were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CS group) and the 70 newborns were delivered vaginally(VD group). The 10 newborns(p1) (14 eyes(p2)) in the CS group and the 29 newborns(41 eyes) in the VD group showed culture positivity. Thes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1, p2<0.05). The CS group had significantly fewer species and colony forming units cultured per subject(0.395±0.821(p3), 5.116±27.095(p4) than the VD group(0.971±1.393, 25.843±62.285) (p3, p4<0.05).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 were predominantly isolated in the CS group and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 gram positive bacilli, E. coli, nonfermenting bacilli, and S. aureus in the VD group.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conjunctiva of the newborns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bore significantly fewer bacteria and need less prophylactic measures than that of newborns delivered vaginally(J Korean Ophthalmol Soc 37:1132∼1138, 1996).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