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니발 이론 관점에서 본 배틀로얄 게임 분석: <화평정영>을 중심으로

온라인 게임은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며, 문화와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 사회에서 게임의 카니발 현상은 인터넷 시대의 독특한 문화 현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게임 카니발은 결코 ‘기술적 자유’의 승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그 이면에 인간의 본성을 속박하는 함정이 숨겨져 있다. 비록 게임의 설정에는 긍정적인 가치와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그 속에 기호 소비, 젠더 헤게모니 등 현실적인 문제가 숨겨져 있다. 현재 게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산업 발전의 관점에서 게임 설계 문제와 수익성 문제에 대한 연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3; no. 5; pp. 441 - 452
Main Authors 장함교, Zhang Han Jia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10.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3.5.3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온라인 게임은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며, 문화와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 사회에서 게임의 카니발 현상은 인터넷 시대의 독특한 문화 현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게임 카니발은 결코 ‘기술적 자유’의 승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그 이면에 인간의 본성을 속박하는 함정이 숨겨져 있다. 비록 게임의 설정에는 긍정적인 가치와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그 속에 기호 소비, 젠더 헤게모니 등 현실적인 문제가 숨겨져 있다. 현재 게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산업 발전의 관점에서 게임 설계 문제와 수익성 문제에 대한 연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문화 이론을 바탕으로 게임의 의미 생산 과정을 분석하여 게임의 문화적 가치를 자세히 이해하고 게임 연구에서 인문학적 정신의 부족 문제를 보완하는 게임 연구의 이론적 관점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배틀로얄 게임 속 카니발 현상의 발생 형태와 카니발화에 대한 비판을 연구하여 게임 속 카니발 현상과 게임 속 기호 소비, 젠더 헤게모니, 지나친 오락 문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바흐찐의 ‘카니발 이론’을 바탕으로 중국 인기 배틀로얄 게임 <화평정영> 사례를 통해 배틀로얄 게임의 카니발 현상에 대해 분석하고 게임 카니발 현상의 발생 논리를 탐구한다. 연구 결과는 이 과정의 연구를 통해 온라인 게임의 매체 형태 가치가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 된다는 사실을 재검토한다. <화평정영>은 한 온라인 게임에서 카니발 활동으로 진화했으며 그이면 속에는 다양한 의미 생성 과정이 포함된다. 이에 따라 게임은 일종의 ‘공유 카니발’을 가져다주고, 플레이어는 게임을 하는 과정에서 정체성을 완성하고 긍정적인 정서적 피드백을 얻는다. 하지만, 게임 카니발 현상 이면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숨어있기에 비판적인 시각에서 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Online games strongly influence our society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culture and communication. In modern society, the phenomenon of game carnival has become a unique cultural spectacle on the Internet. The game carnival is not a victory of “freedom of techniques” as there are pitfalls that suppress humanity hidden within. The initial intention of being positive in its value and function can not hide the game’s real world problems such as symbolic consumption and gender hegemony. Currently, most of the research on games focuses on game design and profitability in the context of game industry development. Often times, players will gain new insights on life and the world through game playing. Analyzing this insight gaining process using cultural theory can examine the cultural value of games more deeply. Additionally, it would make up for the lack of humanism in game research and enrich the theori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ormation mechanism of the carnival phenomenon as well as the problems of symbolic consumption and gender hegemony in the game by analyzing the manifestation of the carnival phenomenon in the battle royal game and the criticism of carnivaliza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based on Bakhtin’s “Carnival Theory” and takes the Chinese phenomenon-level battle royal game “Game for Peace” as a research case to interpret the phenomenon of carnival in battle royal game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value of online games as a medium. “Game for Peace” has evolved from an online game to a carnival and there is a rich insight gaining process in it. The game is a “shared carnival”, through which players receive identity recognition and positive emotional feedback. Undeniable, there are also problems hidden within the phenomenon of game carnival, which need to be examined with a critical eye.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3.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