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 유합술 후 발생하는 방사선 투과영역의 폭과 투과대 및 척추체 HU의 상관관계 분석

현대사회에서는 척추 질환의 증가에 따라 치료방법으로서 요추 유합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요추 유합술 후 발생하는 방사선 투과영역은 수술 후 경과 관찰 시 골유합의 증거로서 중요한 진단적 가치를 지니지만 그 정의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영상에서 방사선 투과영역이 발현되어도 반드시 나사못의 해리를 뜻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방사선 투과영역의 소실 또는 확장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와 관련된 임상적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방사선 투과영역의 특성과 관련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투과영역의 폭과 방사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 19; no. 4; pp. 457 - 463
Main Authors 김병제, Byeong-je Kim, 최우전, Woo-jeon Choi, 김동현, Dong-hyu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방사선학회 30.08.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0620
2384-0633
DOI10.7742/jksr.2025.19.4.45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현대사회에서는 척추 질환의 증가에 따라 치료방법으로서 요추 유합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요추 유합술 후 발생하는 방사선 투과영역은 수술 후 경과 관찰 시 골유합의 증거로서 중요한 진단적 가치를 지니지만 그 정의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영상에서 방사선 투과영역이 발현되어도 반드시 나사못의 해리를 뜻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방사선 투과영역의 소실 또는 확장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와 관련된 임상적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방사선 투과영역의 특성과 관련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투과영역의 폭과 방사선 투과대 HU, 척추체 HU를 이용하여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후향 적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요추 유합술에서 내고정물이 두 분절 이상 있는 경우, 각 분절마다 측정하였고 방사선 투과대의 폭이 1 mm 이상인 경우만을 선별하였다. 관심영역은 방사선 투과대의 폭이 가장 넓게 나타나는 곳을 기준으로 길이를 재고 그와 인접한 부분의 투과대와 척추체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였다. 획득한 데이터는 Pearson 이변량 상관분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그 결과, 방사선 투과대의 폭과 방사선 투과대의 HU는 유의수준을 만족하지 못하였고 척추체 HU와 투과대 폭, 척추체 HU와 투과대 HU는 유의수준 < 0.001을 만족하며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방사선 투과영역의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가 되고 방사선 투과영역을 진단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In modern society, lumbar fusion is widely performed as a treatment method due to the increase in spinal diseases. However, the radiolucent area that occurs after lumbar fusion has important diagnostic value as evidence of bone union during postoperative follow-up, but its defini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Since the appearance of a radiolucent area on the image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loosening of the screw, the disappearance or expansion of the radiolucent area has important meaning. Although many clinical studies are being conducted related to this, studi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diolucent area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using the width of the radiolucent area, the radiolucent zone HU, and the vertebral body HU.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and when there were two or more segments of internal fixation in lumbar fusion, each segment was measured, and only those with a radiolucent zone width of 1 mm or more were selected. The region of interest was measured based on the widest radiolucent zone, and the region of interest was set to the adjacent radiolucent zone and vertebral body. The acquir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As a result, the width of the radiolucent zone and the HU of the radiolucent zone did not satisfy the significance level, and the vertebral body HU and the width of the radiolucent zone, and the vertebral body HU and the radiolucent zone HU satisfied the significance level < 0.001 and showed a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diolucent area and will be helpful in diagnosing the radiolucent area.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ISTI1.1003/JNL.JAKO202525132411563
ISSN:1976-0620
2384-0633
DOI:10.7742/jksr.2025.19.4.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