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임상병리사들의 은퇴 기대 조사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의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임상병리사 158명을 대상으로 은퇴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력수준과 경제적 준비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성별, 월 소득 수준은 은퇴기대수준에 미치지 않는 요인이었다. 좌절감 수준에서는 연령과 근로시간면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교육수준과 결혼 상태는 은퇴준비에 미치는 요인이나 은퇴 기대에는 연관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령, 교육수준, 가족, 은퇴기대 조건이 상호 연관성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Vol. 49; no. 2; pp. 171 - 179
Main Authors 조윤경, Yoon-kyung Jo, 이덕혜, Duck-hye Lee, 성현호, Hyun-ho S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임상검사과학회 30.06.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3544
2288-166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의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임상병리사 158명을 대상으로 은퇴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력수준과 경제적 준비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성별, 월 소득 수준은 은퇴기대수준에 미치지 않는 요인이었다. 좌절감 수준에서는 연령과 근로시간면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교육수준과 결혼 상태는 은퇴준비에 미치는 요인이나 은퇴 기대에는 연관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령, 교육수준, 가족, 은퇴기대 조건이 상호 연관성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의료현장의 임상병리사들이 향후 은퇴기대 및 은퇴준비를 위해 영향인자를 발굴하는 기초정보를 제공하였고 향후 은퇴를 위한 교육, 심리적 수준, 직업특성을 고려하는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factors of retirement expectations among medical technologists at medical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Korea. Subjects were 158 medical technologists. Using a sampling survey method, data was analyzed between July 2015 and December 2016.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level and economic preparation, but gender and monthly income did not reach retirement expectation level. Conversely, we found no change in the trends with respect to gender, monthly income; nonetheless, we observed that frustration gradually increased with age and working duration. In conclusion, our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four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retirement expectation and preparation: age, level of education, working duration, and family condi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retirement expectations and can be a reference for retirement preparation in medical technologists.
Bibliography: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KISTI1.1003/JNL.JAKO201719554996622
ISSN:1738-3544
2288-1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