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농업의 주요 정책 동향과 지리적 시사점

글로벌 식량 위기의 해결책이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스마트농업이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해외 주요국의 스마트농업 동향을 통해 각 국가의 농업 지식과 경험이 특정 농업 환경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스마트농업의 공간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농업 기술 수준에 따라 중국, 일본, 네덜란드, 미국을 대표적인 사례로 선정하여 각 국가 스마트농업 정책의 방향성, 거버넌스, 주력 분야와 기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의 경제·사회·문화 및 생태적 맥락으로부터 탈맥락화 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25; no. 3; pp. 397 - 419
Main Authors 김나리, Na-ri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경제지리학회 30.09.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96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글로벌 식량 위기의 해결책이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스마트농업이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해외 주요국의 스마트농업 동향을 통해 각 국가의 농업 지식과 경험이 특정 농업 환경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스마트농업의 공간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농업 기술 수준에 따라 중국, 일본, 네덜란드, 미국을 대표적인 사례로 선정하여 각 국가 스마트농업 정책의 방향성, 거버넌스, 주력 분야와 기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의 경제·사회·문화 및 생태적 맥락으로부터 탈맥락화 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표준화 전략과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여 각 국가별 스마트농업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는 국지화 전략이 동시에 작동하며 각 국가의 정책과 기술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가적 스케일에서 스마트 농업 정책과 현황을 살펴보는 시도로써 농업기술 지리 및 농업지식생산의 지리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의 토대로 활용한다. Smart agriculture has emerged to be a solution to the global food crisis and a new growth engin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patiality of smart agriculture by analyzing smart agriculture policies in major countries and examining how major’s agricultural knowledge and experience are expressed in specific agricultural environment. I selected China, Japan, the Netherlands, and the United States as representative examples. In the analysis of agricultural policy, the direction, governance and main areas and technologies were focused. As a result, it is found both standardization strategy and the localization strategy work at the same time. Standardization strategies decontextualize technologies and policies from the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cological contexts of region. The regionalization strategy builds a smart agricultural model for each country with reflect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uld be for facilitating further researches on geographies of agricultural technology and agricultural knowledge production.
Bibliography: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229753274312
ISSN:1226-8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