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modifier를 이용한 저선량 CT의 폐암 외 중요 소견에 대한 민감도 분석

본 연구에서는 2016년 11월부터 폐암 검진 판독 시 판독의 표준화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Lung-RADS(Lung CT Screening Reporting and Data System)에 기반하여 폐암 이외에 부수적으로 발견되는 “S” modifier 소견들의 종류와 빈도를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저선량 CT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폐암 외의 중요 소견들에 대해 살펴보고 저선량 CT의 폐암 외 질환에 대한 유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전체 1023명의 대상자에서 360건(35.19%)의 “S” modifie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 17; no. 3; pp. 343 - 350
Main Authors 김현진, Hyeon-ji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방사선학회 30.06.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062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2016년 11월부터 폐암 검진 판독 시 판독의 표준화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Lung-RADS(Lung CT Screening Reporting and Data System)에 기반하여 폐암 이외에 부수적으로 발견되는 “S” modifier 소견들의 종류와 빈도를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저선량 CT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폐암 외의 중요 소견들에 대해 살펴보고 저선량 CT의 폐암 외 질환에 대한 유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전체 1023명의 대상자에서 360건(35.19%)의 “S” modifier 소견이 나타났으며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질환은 관상동맥 석회화와 폐기종으로 관상동맥 석회화는 145건(14.17%), 폐기종은 138건(13.49%)으로 나타나 다른 소견들에 비해 발견 비율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흡연 기간과 연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관상동맥 석회화의 경우 비흡연자인 A 그룹에서는 발견 비율이 9건(5.73%), 흡연 10년 이내의 B그룹은 23건(11.44%), 흡연 20년 이내의 C 그룹은 39건(13.68%), 흡연 30년 이내의 D그룹은 43건(18.53%), 흡연 30년 이상의 E그룹은 31건(20.94%)로 나타나 흡연력이 증가할수록 관상동맥 석회화의 발생 확률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관상동맥 석회화와 폐기종 이외에도 폐렴 및 폐 간질의 이상소견, 종격동 질환도 흡연 기간 과의 연관성 분석결과 p<0.05로 나타나 흡연 기간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Based on Lung CT Screen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Lung-RADS), which has been used to standardize reading for lung cancer screening since November 2016, the types and frequency of "S" modifier findings other than lung cancer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360 cases (35.19%) of "S" modifier were found in 1,023 subjects, and the most frequent diseases were coronary calcification and emphysema, 145 (14.17%) of coronary calcification and 138 (13.49%) of emphysema, indicating that the discovery rate was very high compared to other findings. In addition, it was found to be highly associated with the duration of smoking, and in the case of coronary calcification, 9 cases (5.73%) were found in the non-smokers group A, 23 cases (11.44%) within 10 years of smoking, 39 cases (13.68%) in the C group within 20 years of smoking, and 31% of the E group over 30 years of smoking. In addition to coronary calcification and emphysema, abnormal findings of pneumonia, lung epilepsy, and mediastinal disease were also found to be p<0.0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ssociation with the smoking period, indicating that the smoking period was affected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ISTI1.1003/JNL.JAKO202320961563962
ISSN:1976-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