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라겐으로 유도한 사람 혈소판 응집에 미치는 Scopoletin의 억제 효과
혈소판 응집은 혈관 손상의 경우 지혈 플러그 형성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과도한 혈소판 응집은 혈전증, 죽상 동맥 경화증 및 심근 경색과 같은 순환기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 Scopoletin은 Scopolia 또는 Artemisia 속 식물의 뿌리에서 발견되는 성분으로, 항응고 및 항말라리아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collagen에 의해 유발된 혈소판 응집에 scopoletin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copoletin은 활성화된 혈소판에서 생성되는 응집 유도 분자인 thromboxane A 2 (...
Saved in:
Published in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Vol. 51; no. 1; pp. 34 - 41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30.03.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3544 2288-1662 |
Cover
Summary: | 혈소판 응집은 혈관 손상의 경우 지혈 플러그 형성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과도한 혈소판 응집은 혈전증, 죽상 동맥 경화증 및 심근 경색과 같은 순환기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 Scopoletin은 Scopolia 또는 Artemisia 속 식물의 뿌리에서 발견되는 성분으로, 항응고 및 항말라리아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collagen에 의해 유발된 혈소판 응집에 scopoletin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copoletin은 활성화된 혈소판에서 생성되는 응집 유도 분자인 thromboxane A 2 (TXA 2 ) 및 세포 내 Ca 2+ 동원 ([Ca 2+ ] i )의 하향 조절을 통해 항 혈소판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scopoletin은 세포 내 Ca 2+ -길항제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와 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cGMP) 수치를 증가시켰다. 특히, scopoletin은 cGMP보다 cAMP 수준을 강력하게 증가함으로써 콜라겐에 의해 유발된 사람 혈소판 응집에서의 αIIb/β3에 대한 피브리노겐 결합을 억제하였다. 또한, scopoletin은 용량 의존적으로 collagen에 의해 증가된 adenosine trisphosphate (ATP)의 방출을 억제하였다. 이 결과는 혈소판 내 과립 분비를 통한 응집 증폭작용이 scopoletin에 의해 억제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scopoletin이 강력한 항혈소판 효과를 가지며 혈소판-유래의 혈관 질환을 예방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Platelet aggregation is essential for the formation of a hemostatic plug in the case of blood vessel damage. On the other hand, excessive platelet aggregation may cause cardiovascular disorders, such as thrombosis, atherosclerosis, and myocardial infarction. Scopoletin, which found in the root of plants in the genus Scopolia or Artemisia, has anti-coagulation and anti-malaria effect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copoletin on human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collagen. Scopoletin had anti-platelet effects via the down-regulation of thromboxane A 2 (TXA 2 ) production and intracellular Ca 2+ mobilization ([Ca 2+ ] i ), which are aggregation-inducing molecules produced in activated platelets. On the other hand, scopoletin increased both the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 and 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cGMP) levels, which are known as intracellular Ca 2+ -antagonists and aggregation-inhibiting molecules. In particular, scopoletin increased the potently cAMP level more than cGMP, which led to suppressed fibrinogen binding to αIIb/β 3 in collagen-induced human platelet aggregation. In addition, scopoletin inhibited collagen-elevated adenosine triphosphate (ATP) rele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results suggest that aggregation amplification through granule secretion is inhibited by scopoletin. Therefore, scopoletin has potent anti-platelet effects and may have potential for the prevention of platelet-derived vascular diseases.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KISTI1.1003/JNL.JAKO201912742273591 |
ISSN: | 1738-3544 2288-16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