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 품종에 따른 식이섬유 및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This study examined the dietary fiber content of potato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tato starch isolated from various cultivars. The total dietary fiber content of the Arirang1ho cultivar was 6.30%,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cultivars. The amylose content ranged from 36.76-55....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4; no. 4; pp. 377 - 385
Main Authors 김현주(Hyun-Joo Kim), 최장규(Jang Gyu Choi), 이병원(Byong Won Lee), 한나래(Narae Han), 이진영(Jin Young Lee), 이유영(Yu-Young Lee), 김미향(Mihyang Kim), 강문석(Moon Seok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과학회 01.08.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67-6293
2383-9635
DOI10.9721/KJFST.2022.54.4.37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examined the dietary fiber content of potato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tato starch isolated from various cultivars. The total dietary fiber content of the Arirang1ho cultivar was 6.30%,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cultivars. The amylose content ranged from 36.76-55.75%, with Sooseon having the highest amylose content. Analysis of the degree of amylopectin polymerization revealed that all cultivars had a high proportion of DP (degree of polymerization) 13-24. The phosphate content ranged from 45.90-84.23 mg/100 g, with Arirang1ho having the highest and Eunseon having the lowest phosphate content. The resistant starch content ranged from 58.94-79.87%. Geumseon showed the highest breakdown in the range of 587.45-1,129.72 RVU (rapid viscosity unit). Sooseon had the lowest gelatinization enthalpy value for potato starch in the range of 5.54-7.64 J/g. These results provide basic data for the use of potatoes in industrial applications. 본 연구는 감자를 산업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국내에서 육성된 감자 24품종을 이용하여 식이섬유 함량을 비교 분석한 다음, 품종별로 전분을 추출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감자 원료의 총 식이섬유 함량을 분석한 결과 아리랑1호 품종이 6.30%로 가장 높은 식이섬유 함량을 보였다. 감자 품종별로 전분을 추출한 다음 아밀로스 함량을 측정한 결과 36.76-55.75%로 수선 품종이 가장 높았고. 아밀로펙틴 가지사슬길이 분포가 DP13-24가 약 60% 이하로 가장 많은 비율을 보였다. 인 함량을 분석한 결과 45.90-84.23 mg/100 g의 범위로 아리랑1호 품종이 가장 높고, 은선이 가장 낮았다. 감자 전분에 함유된 저항전분 함량은 58.94-79.87% 범위로 아리랑2호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호화 점도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강하점도의 경우 587.45-1,129.72 RVU 범위로 금선이 가장 높았고, 치반 점도는 -864.31- -353.22 RVU 범위로 금선이 가장 낮았다. 감자 전분의 품종별 호화엔탈피 값을 분석한 결과, 5.54-7.64 J/g의 범위로 수선이 가장 낮았고, 다미가 다른 품종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산 감자전분의 산업소재로서 다양하게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보다 많은 자료 확보를 위해 재배 및 저장 조건 등에 따른 전분 특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25753036121
ISSN:0367-6293
2383-9635
DOI:10.9721/KJFST.2022.54.4.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