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열살균조건에 따른 양파 착즙액 첨가 한식간장의 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tegrate onion juice into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and to evaluate the sterilization conditions necessary for commercialization. As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increased, pH decreased and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A reduction in °Brix was observed post-s...
Saved in:
| Published in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31(4) Vol. 31; no. 4; pp. 601 - 611 |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24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3022-5477 3022-5485 |
| DOI | 10.11002/fsp.2024.31.4.601 |
Cover
| Summary: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tegrate onion juice into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and to evaluate the sterilization conditions necessary for commercialization. As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increased, pH decreased and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A reduction in °Brix was observed post-sterilization, from 37.37 °Brix in untreated soy sauce to 36.67-36.77 °Brix. In terms of chromaticity, the L value declined over the storage period while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The quercetin component exhibited light sensitivit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in the sample on the 60th day. Neither Bacillus cereus nor Clostridium perfringens were detected, and the total bacterial count was comparable to that of commercially available soy sauce. This indicates that samples sterilized at 85℃ for 30 minutes fall within a safe quality range.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samples sterilized at 85℃ for 30 minutes exhibited consistently high ratings. 본 연구에서는 양파의 소비촉진 및 가치 향상과 간장의 기능성을 고려하여 한식간장 제조시 물 첨가 대신 양파 착즙액을 첨가하여 발효하였고, 이를 제품화하기 위해 유통 중 품질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살균조건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상품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양파를 세척하여 껍질까지 모두 착즙하였고, 양파 800 g에 메주 250 g, 소금 200 g을 함께 담금 후, 3개월간 35℃에서 숙성 발효시켰으며, 200 mesh로 여과하여 청징 간장을 제조하여 65℃-30분, 85℃-30분, 90℃-20분, 98℃-10분간 살균하였다. 살균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pH는 감소하였고,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다. 당도는 살균 후에 감소하였으나, 살균온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p<0.05)는 나타나지 않았다. 색도 측정 결과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L값은 감소하였고, a값과 b값은 증가하여 간장의 색이 진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Quercetin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할 수록 감소하였고, 60일 차에는 비슷한 값이 나타났다. 미생물 실험결과, B. cereus와 C. perfringens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총균수에서 SN과 S65 시료구의 경우 보고된 시판 간장보다 높은 값을 보여 안전한 범위의 품질을 가진 것으로 판단할 수 없다. 관능평가 결과에서는 색, 향, 짠맛, 구수한 향 및 전체적 기호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이지 않았고, 단맛의 기호도는 살균하지 않은 SN과 85℃에서 30분간 살균한 S85 시료구에서 4.20으로 유의적(p<0.05)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품의 품질저하와 미생물학적 안전한 범위의 품질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는 85℃에서 30분간 살균하는 조건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429057630457 |
| ISSN: | 3022-5477 3022-5485 |
| DOI: | 10.11002/fsp.2024.31.4.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