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영양지수(NQ-A)를 활용한 서울지역 일부 고등학교 학생의 식행동과 삶의 질의 관련성 연구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adolescents' dietary behavior on their quality of life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 (NQ-A) for som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Methods: The subjects were 176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The NQ-A was used to assess the diet...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57; no. 3; pp. 320 - 335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영양학회
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8-3886 2288-3959 |
DOI | 10.4163/jnh.2024.57.3.320 |
Cover
Summary: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adolescents' dietary behavior on their quality of life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 (NQ-A) for som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Methods: The subjects were 176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The NQ-A was used to assess the dietary quality, and the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by categorizing it into life satisfaction, environment, health, participation and safety, leisure activities, and emotional factors using survey questions validated through previous studies. Results: The NQ score of the survey subjects was 49.30 points. Based on the NQ scores, 7.4%, 46.6%, and 46.0% of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as the 'high', 'medium', and 'low' groups, respectively. The total NQ score and balance, diversity, and practice factor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environment, health, participation and safety, and leisure activities among the quality of life subscales.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total NQ scor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health, leisure activities, and emotions; the moderation factor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The balance facto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nvironmental factor. The practice facto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ealth, leisure activities, and emotions, and the environment factor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motion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adolescents' quality of life is closely related to their diet, so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balanced and varied food intake and desirable eating behaviors to improve adolescents' quality of life. Furthermore, adolescents' quality of life is influenced by other factors.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ssess the quality of life, including dietary factors, as well as physical,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본 연구는 서울 일부지역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식사의 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청소년 영양지수를 활용하여 삶의 질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서울시 소재의 고등학교 (인문계고, 특목고, 특성화고)에 재학 중인 1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등학생들의 식사의 질 평가를 위해 청소년 영양지수 (NQ-A)를 활용하였고, 삶의 질 평가는 선행연구를 통해 타당도가 검증된 조사문항을 활용하여 삶의 만족도, 환경, 건강, 참여와 안전, 여가활동 및 정서 요인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조사대상들의 영양지수 점수는 전체대상자 49.30점이었고, 영양지수 등급을 보면 '상' 등급 7.4%, '중' 등급 46.6%, '하' 등급 46.0%로 본 조사대상자들의 90% 정도는 식사의 질이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영양지수 점수 및 균형, 다양, 실천 영역의 점수는 삶의 질 하위요인 중 삶의 만족도, 환경, 건강, 참여와 안전, 여가활동 사이에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회귀분석 시 영양지수 점수는 삶의 만족도, 건강, 참여와 안전, 정서 요인에서 양의 연관성을, 절제 영역은 삶의 만족도, 건강 요인에서 음의 연관성을, 균형 영역은 환경 요인에서 양의 연관성을, 실천 영역은 건강과 여가활동 요인에서 양의 연관성을, 환경 영역은 정서 요인에서 음의 연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청소년들의 삶의 질은 식생활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청소년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균형되고 다양한 식품 섭취 및 바람직한 식행동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소년의 삶의 질은 다양한 요인들에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식생활을 포함한 식이 요인 뿐만이 아니라 신체 발달, 더불어 정서, 심리적, 사회적 발달을 포함한 삶의 질 평가를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421472550965 |
ISSN: | 2288-3886 2288-3959 |
DOI: | 10.4163/jnh.2024.57.3.320 |